5
0
5
0
산업
섬유 제조공정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 와이어’ 만든다
    이남석 기자
    입력 2025.03.17 09:02
    0
CNT 기반의 ‘고에너지 경량 기능성 와이어’ 제조 공정. [출처=한국전기연구원]
CNT 기반의 ‘고에너지 경량 기능성 와이어’ 제조 공정. [출처=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기존 합성섬유 공정 방식을 그대로 활용해 웨어러블(wearable) 전자기기의 근간인 ‘기능성 와이어(전선, wire)’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KERI의 성과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CNT)’를 활용한 고에너지 경량 와이어다. CNT는 강철의 100배 강도에 전기 전도도는 구리에 버금가는 수준을 가진 신소재로, 6각형 고리로 연결된 탄소들이 긴 원통형 모양을 이루고 있어 유연성도 뛰어나다. 특히 CNT는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에너지 밀도를 크게 높여주기 때문에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무거운 구리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만 CNT는 응집하려는 성질이 매우 강해 서로 엉킨 구조를 가지고, 유기용매 등에 분산이 어려워 전기·전자기기 분야에 적용하는 데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이에 한 박사팀은 먼저 CNT 표면에 용매와 친한 ‘산소 기능기’를 도입하기 위해 소량의 강산과 첨가제를 넣고 반죽해 저온(섭씨 2℃)에서 일정 시간 보관했다. 빵이나 국수를 만들 때 밀가루에 물과 첨가물을 섞어주고 반죽을 하면 숙성이 되는 방식을 모방한 것으로 CNT가 저온에서 기능화될 경우 표면에 결함 구조가 최소화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100나노미터(nm) 정도로 크기가 제한된 ‘산화 그래핀을’ 첨가한 이후 기존 합성섬유 제조 방식과 동일하게 다수의 작은 구멍을 통해 CNT 용액(도프, dope)을 여러 갈래로 방사(spinning)했다. 이 과정에서 크기가 조절된 산화 그래핀은 CNT 용액의 분산성을 높이고, 방사 중 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크게 줄였다. 마지막으로 산소 기능기가 도입된 CNT는 방사 과정을 거친 뒤 상호 수소 결합에 의해 거미줄처럼 하나의 가닥으로 접합되어 기능성 와이어로 제조된다.

KERI CNT 와이어는 한국재료연구원(KIMS)과 건국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성능 검증도 거쳤다. 한국재료연구원 김태훈 박사팀은 CNT 와이어를 직물(textile) 형태의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로 제작해 성능을 평가했고, 세계최고 수준의 우수한 에너지 저장 성능을 확인했다.  건국대 이위형 교수 연구팀에서는 산소 기능기를 보유한 CNT 와이어가 유해가스 유무를 판단하는 가스 센서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소방대원의 화재 진압이나 국방 분야 등 스마트 의류에 크게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이다.

연구 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가 발행하는 나노과학 분야 최상위급 SCI 학술지인 ‘ACS Nano’에 논문이 게재됐다. 학술지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JCR Impact Factor’는 15.8로 해당 분야 상위 7.9%에 속한다.

한 박사는 “기능화된 CNT를 유기용매에 분산하고 용액 방사해 와이어를 만든 세계 최초의 성과로 가볍고 오래 가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산업 발전을 이끌 것”이라며 “꾸준한 연구를 통해 전기차나 드론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구리 와이어를 대체해 경량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기능
    #박사
    #웨어
    #기기
    #전자
    #러브
    #성능
    #와이
    #제조
    #분야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산업 주요뉴스
  • 1
  • 중기중앙회, 농협중앙회와 中企 해외진출 지원 '맞손'
    아시아경제
    0
  • 중기중앙회, 농협중앙회와 中企 해외진출 지원 '맞손'
  • 2
  • "오늘 주문 내일 받는다"…지그재그, 주7일 '직진배송' 오픈
    아시아경제
    0
  • "오늘 주문 내일 받는다"…지그재그, 주7일 '직진배송' 오픈
  • 3
  • [초동시각]알고리즘 맹점 노린 보이지 않는 손
    아시아경제
    0
  • [초동시각]알고리즘 맹점 노린 보이지 않는 손
  • 4
  • "주문하신 약, 몇 시간이면 도착 합니다"…떠오르는 '의약품 유통업계 쿠팡'[의약품 유통시장의 명암]②
    아시아경제
    0
  • "주문하신 약, 몇 시간이면 도착 합니다"…떠오르는 '의약품 유통업계 쿠팡'[의약품 유통시장의 명암]②
  • 5
  • 치유농업, 우울증상 30% 감소…"약물 치료 보조 역할 가능성 확인"
    아시아경제
    0
  • 치유농업, 우울증상 30% 감소…"약물 치료 보조 역할 가능성 확인"
  • 6
  • GS25 '우리동네GS'앱, 사전예약 매출 173% ↑
    아시아경제
    0
  • GS25 '우리동네GS'앱, 사전예약 매출 173% ↑
  • 7
  • SK매직, 경남 산청지역 학교에 공기청정기 100대 전달
    아시아경제
    0
  • SK매직, 경남 산청지역 학교에 공기청정기 100대 전달
  • 8
  • 아름다운가게, 국내 최대 재사용 물류허브 ‘서울그물코센터’ 개소
    아시아경제
    0
  • 아름다운가게, 국내 최대 재사용 물류허브 ‘서울그물코센터’ 개소
  • 9
  • 시지바이오, DNA 기반 스킨부스터 'QB with PN' 수출 허가
    아시아경제
    0
  • 시지바이오, DNA 기반 스킨부스터 'QB with PN' 수출 허가
  • 10
  •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서 신기술 선보여…올해 中 수주 목표 2억달러
    아시아경제
    0
  •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서 신기술 선보여…올해 中 수주 목표 2억달러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