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산업
약가 인하 이어 中 바이오 견제 나서는 美…韓 반사이익 얻나
    입력 2025.04.18 10:55
    0

[ 아시아경제 ] 미국이 바이오기술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격상하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규제 카드를 꺼내 들며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의 재편이 가속화할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글로벌 최상위 수준의 생산 능력을 갖춘 한국 바이오 기업들의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18일 한국바이오협회 등에 따르면 미국 의회는 최근 '국가 바이오기술 이니셔티브 법안(National Biotech Initiative Act)'을 상원과 하원에서 동시에 발의했다. 토드 영 상원의원 등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 주요 의원이 발의에 참여했다. 이 법안은 바이오기술의 위상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끌어올리고, 중국을 비롯한 전략적 경쟁국에 대한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바이오기술 육성 촉진을 위해 미국 행정부 내에 강력한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법안은 해당 기관을 통해 바이오기술 규제를 간소화하고 5년마다 국가 바이오기술 전략을 발표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또한 연방 부처 및 기관 전반에 걸쳐 정책 조정을 위해 부처 간 위원회를 설립하고 바이오기술에 관련된 모든 연방 부처 및 기관에 대한 명확한 역할과 책임을 부여한다.

미국이 바이오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배경에는 적잖은 위기감이 자리하고 있다. 이달 초 미국 연방상원 신흥바이오테크국가안보위원회에서 내놓은 보고서는 "중국이 20년간 생명공학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두면서 이 분야에서 빠르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원료의약품과 복제약품 등을 미국에 대규모로 수출하는 국가다. 최근에는 아스트라제네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등 글로벌 빅파마들도 중국이 개발하고 임상시험까지 마친 신약의 판권을 사들이는 등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관세 전쟁과 희토류 등 핵심 자원의 공급망을 둘러싼 대립에 이어 바이오 분야에서도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이 급격히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미국 의회에서 입법이 연기됐던 '생물보안법'도 다시 논의될 것으로 보다. 생물보안법은 중국 우시앱텍,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주요 기업을 '우려 바이오기업'으로 지정하고 향후 미국 기업과의 모든 장비 및 서비스 계약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같은 미 정부의 움직임은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에서 중립적 위치에 있는 한국 바이오 기업들에 긍정적인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던 위탁개발생산(CDMO) 분야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롯데바이오로직스 등이 대규모 캐파 증설을 통해 이미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중국과 바이오 분야에서 본격적인 갈등 구도에 돌입하면서 글로벌 제약사들의 탈중국 흐름이 더욱 빨라질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이 뛰어난 바이오 생산능력과 안정적인 정치적 입지를 기반으로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 재편의 수혜를 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업
    #사이
    #미국
    #글로벌
    #견제
    #중국
    #인하
    #기수
    #바이오
    #분야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산업 주요뉴스
  • 1
  • 불황 속 과감한 투자…금호폴리켐, '5번째 특수고무 공장' 완공
    아시아경제
    0
  • 불황 속 과감한 투자…금호폴리켐, '5번째 특수고무 공장' 완공
  • 2
  • 제주항공-신한EZ손보 전략적 제휴…취소 위약금 최대 90% 보상
    아시아경제
    0
  • 제주항공-신한EZ손보 전략적 제휴…취소 위약금 최대 90% 보상
  • 3
  • LG엔솔, 美 GM과 차세대 LMR 배터리셀 개발…2028년 상용화
    아시아경제
    0
  • LG엔솔, 美 GM과 차세대 LMR 배터리셀 개발…2028년 상용화
  • 4
  • 기아 EV9, 獨 '아우토빌트' 평가서 볼보 EX90 제쳤다
    아시아경제
    0
  • 기아 EV9, 獨 '아우토빌트' 평가서 볼보 EX90 제쳤다
  • 5
  • 셀트리온, 美 약가 인하 추진에 "바이오시밀러 처방 확대 기대"
    아시아경제
    0
  • 셀트리온, 美 약가 인하 추진에 "바이오시밀러 처방 확대 기대"
  • 6
  • 중진공, 찾아가는 집단 멘토링 실시…재도약 기업 지원 강화
    아시아경제
    0
  • 중진공, 찾아가는 집단 멘토링 실시…재도약 기업 지원 강화
  • 7
  • "지역 中企 살리자"…중기부, 지역혁신 라운드테이블 개최
    아시아경제
    0
  • "지역 中企 살리자"…중기부, 지역혁신 라운드테이블 개최
  • 8
  • 급격한 변화 속 中企 정책 방향 모색 심포지엄 열려
    아시아경제
    0
  • 급격한 변화 속 中企 정책 방향 모색 심포지엄 열려
  • 9
  • 밸런스히어로, 5년 연속 ESG 활동…인도 금융환경 개선 기여
    아시아경제
    0
  • 밸런스히어로, 5년 연속 ESG 활동…인도 금융환경 개선 기여
  • 10
  • 마이리얼트립, 올 1분기 해외 출국자 이용률 18% 달성
    아시아경제
    0
  • 마이리얼트립, 올 1분기 해외 출국자 이용률 18% 달성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