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서울시가 마포구 상암동에 신설할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연다. 시는 환경영향평가 결과 '안전하다'는 입장이지만, 구에서는 소각 유해성 등을 토대로 '백지화' 요구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시는 12일 오전 10시 상암월드컵경기장 리셉션홀에서 소각장 설치와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시민 400명이 참석해 환경·기후영향평가 초안에 대해 의견을 제안한다. 시는 평가 결과 대기 질·악취 등에서 신규 소각장이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신규 시설이 운영될 때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다이옥신 등도 환경기준을 모두 만족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마포구에서는 소각의 위험성을 토대로 신규 소각장 건설에 반대하고 있어 이날 설명회에서 충돌이 예상된다. 마포구는 지난 5일 세계소각대안연맹(GAIA)와 주최한 국제 포럼에서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 등 유해 물질의 위험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포럼 기조연설을 맡았던 풀 코넷 교수는 "장기간에 걸쳐 측정하면 현재보다 훨씬 많은 다이옥신이 검출된다"며 소각장 인근에서 생산된 달걀에서 안전 기준보다 높은 다이옥신이 검출된 사례를 예로 들었다. 마포구는 지난 8일 소각장 신규 입지 예정지에 2차 토양오염도 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마포구 측에서는 서울 내에 있는 4개(마포·강남·양천·노원)의 소각장 가동률을 100%로 올리면 굳이 신규 소각장을 건립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반대 사유로 든다. 현재 4곳 소각장의 시설 가동률이 약 80% 수준으로, 시설 개선을 통해 가동률을 100%로 향상할 경우 추가 소각장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주민의 건강권과 환경권을 지키는 일에 타협하지 않고 구청이 앞장서 보호하겠다"며 "서울시가 추가 소각장 건립을 강행할 경우 마포구민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시의 잘못된 행정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기존 소각장 철거 시기를 단축해 신규 소각장만 남도록 하는 '현대화' 개념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8월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서 "마포구 소각장은 2026년 완공해 2035년까지 기존 소각장과 병존할 것이었지만 착공이 늦어지게 됐다. 기존에 있던 소각장 철거 시기도 단축해 두 소각장이 병존하는 시기를 5~6년 줄일 수 있다"며 "관점을 바꾸면 현대화된, 다른 세 시설에서 누리지 못하는 깔끔하고 멋진 시설로 대체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