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휴대폰 빌리고 팔찌 탈부착"…암표 단속 강화에 신종수법 성행
    입력 2024.12.04 08:21
    0

[ 아시아경제 ] 최근 공연 시장 내 암표 거래를 막기 위한 단속 수위가 높아지면서 본인인증 절차를 우회하는 신종 수법이 성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팔찌 옮기기와 타인 명의 휴대전화 대여 등이 있다. 각종 편법이 난무하면서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팔찌 옮기기'를 검색하자 관련 계정 10여개와 실제 팔찌 해체에 성공한 모습이 담긴 게시글이 노출됐다.

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에 '팔찌 옮기기'를 검색하자 암표 거래 관련 계정 10여개가 검색됐다. 팔찌 옮기기는 신원 확인 목적으로 착용하는 입장용 팔찌를 잘라 티켓 양도자에게 넘기는 행위를 뜻한다. 이러한 꼼수는 공연 업계가 입장 시 티켓과 입장권 팔찌를 함께 인증하도록 하면서 등장했다.

팔찌만 전문적으로 옮겨주는 업자까지 등장했다. 해당 팔찌는 특수 종이로 제작돼 한번 팔찌를 풀면 재착용이 불가하다. 그러나 손기술을 이용하면 손상 없이 팔찌를 해체한 뒤 다시 이어붙일 수 있다. 이들 업자는 콘서트장에 출장 형태로 방문한 뒤 입장용 팔찌를 해체해주는 대가로 금전적 이득을 취한다.

실제로 아시아경제가 이날 SNS를 통해 한 업자에게 모 방송사의 오디션 프로그램 입장권에 대해 문의하자 해당 업자는 "수고비 3만원을 선입금하면 당일 현장에서 만나 (티켓 판매자가 착용한) 팔찌를 (양도자 손목에) 옮겨주겠다"며 "실수로 팔찌가 끊어질 경우 전액을 환불해 주겠다"고 제안했다.

암표 업자들은 공연업계의 불법 거래 단속 강화 시도를 휴대전화 대여와 같은 편법으로 무력화하고 있다. 휴대전화 대여는 온라인 티켓 판매 업체가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에 전자티켓을 전송하는 방식을 도입하자 등장한 수법이다. 판매자가 티켓이 담긴 본인 소유 스마트폰을 건네면 양도자는 이를 들고 공연장에 입장한 뒤 추후 기기를 반납한다.

암표 업자들은 휴대전화 대여를 조건으로 적게는 수 십만원에서 많게는 100만원대의 웃돈을 요구한다. 지난 7월 개최된 모 보이그룹의 콘서트의 티켓 1매의 정가는 15만4000원이었으나 일부 암표상은 휴대전화 대여를 조건으로 140만원에 암표를 판매한 바 있다.

판매자가 티켓 2매를 예매한 뒤 양도자와 함께 입장하는 형태의 '동반 입장' 꼼수도 성행하고 있다. 공연 주최 측이 티켓을 직접 예매한 사람의 신원만 확인한다는 파악해 양도자와 일행인 척 입장하는 방식이다. 판매자는 이 과정에서 '현장 도움비'를 명목으로 양도자에게 10만원 내외의 추가 비용을 요구한다.

공연 업계는 기획사가 허용한 창구 외의 티켓 거래를 모두 불법 거래로 정의하고 처벌 규정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가 웃돈을 주고 티켓을 거래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공연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지만 티켓을 정가 보다 낮춰 파는 암표 거래는 막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고기호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이사는 "페스티벌 입장 팔찌를 시간대별로 분철해 싼값에 판매하는 꼼수 거래도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웃돈 거래만 금지 할 것이 아니라 공식 창구를 거치지 않은 모든 온라인 판매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처벌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암표
    #양도자
    #팔찌
    #업자
    #수법
    #티켓
    #강화
    #휴대폰
    #거래
    #신종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성남시, 연이은 강설에 밤샘 제설 작업
    뉴스패치
    0
  • 성남시, 연이은 강설에 밤샘 제설 작업
  • 2
  • 부산항만공사 신임 사장에 송상근 전 해양수산부 차관 임명
    서울신문
    0
  • 부산항만공사 신임 사장에 송상근 전 해양수산부 차관 임명
  • 3
  • 고려대·성균관대 등 의대 80%, 개강 3월로 연기한다
    아시아경제
    0
  • 고려대·성균관대 등 의대 80%, 개강 3월로 연기한다
  • 4
  • 전한길 “민주당이 나를 고발? 지지율 떨어지니 다급한 모양”
    서울신문
    0
  • 전한길 “민주당이 나를 고발? 지지율 떨어지니 다급한 모양”
  • 5
  • ‘편법대출·재산축소신고 혐의’ 양문석에 징역형 구형
    서울신문
    0
  • ‘편법대출·재산축소신고 혐의’ 양문석에 징역형 구형
  • 6
  • 구토 호소하며 “수갑 풀어달라”…도주한 40대 수배자 검거
    서울신문
    0
  • 구토 호소하며 “수갑 풀어달라”…도주한 40대 수배자 검거
  • 7
  • 초속 31m 강풍·눈보라…제주 항공편 무더기 결항
    아시아경제
    0
  • 초속 31m 강풍·눈보라…제주 항공편 무더기 결항
  • 8
  • ‘걸그룹 A양 사생활 영상 유출’ 피해 당사자, 트라우마 호소… 딥페이크로 진화한 女연예인 대상 범죄
    서울신문
    0
  • ‘걸그룹 A양 사생활 영상 유출’ 피해 당사자, 트라우마 호소… 딥페이크로 진화한 女연예인 대상 범죄
  • 9
  • 해남서 출생 아이 18세까지 9156만원 받는다
    서울신문
    0
  • 해남서 출생 아이 18세까지 9156만원 받는다
  • 10
  • 대선조선, 1천TEU급 컨테이너선 중국 선사에 인도
    서울신문
    0
  • 대선조선, 1천TEU급 컨테이너선 중국 선사에 인도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