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행정안전부가 20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 '연말연시 인파관리 특별대책기간'을 운영한다. 올해 성탄절과 해넘이·해맞이 기간 전국 주요 도심지 번화가와 지역 명소에 430만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돼서다.
우선 인파 밀집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명동과 홍대 주변, 해맞이 명소인 정동진과 간절곶 등 19개 지역에 현장 상황 관리관을 파견해 인파 해산 시까지 현장 상황을 관리한다.
자치단체에서는 행사 준비 단계부터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행안부와 경찰·소방, 민간 전문가 등이 함께 행사 안전관리 상황을 점검해 위험요소 등을 사전에 제거·보완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인파 밀집 징후 감시를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인파관리지원시스템, 실시간도시데이터, 피플카운팅시스템 등도 활용할 예정이다. 피플카운팅시스템은 폐쇄회로(CC)TV로 단위면적당 인원수를 자동으로 측정, 위험징후 등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행안부는 다중운집인파 관리를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보완했다. '재난안전법' 개정을 통해 다중운집인파사고를 사회재난의 원인 유형에 명시했고 중앙행정기관을 재난관리주관기관으로 지정했다. 또한 성탄절이나 연말연시 축제 등 개최자가 없거나 불분명한 경우에는 관할 자치단체의 장으로 하여금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주재한 연말연시 등 다중운집인파 안전관리 관계기관 대책회의에서 "각 기관이 수립한 인파 안전관리대책이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속 보완하겠다"며 "인파사고 예방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