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이렇게 쉽게 지워지는데…" 동덕여대 '복구비 54억' 논란
    입력 2024.12.28 10:38
    0

[ 아시아경제 ] 남녀공학 전환 추진에 반발한 동덕여대 학생들의 시위에서 발생한 래커칠의 청소 비용을 두고 학생들과 학교 측이 첨예하게 맞섰다.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 경내 횡단보도에 공학 전환 반대 문구가 적혀있다. 연합뉴스

앞서 동덕여대 측은 학생들의 시위로 대학이 입은 피해 금액이 최대 54억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외부 업체의 추정액으로 정확하지는 않지만, 피해 금액은 24억4434만원에서 54억4434만원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동덕여대는 "래커, 페인트 등의 경우 스며든 정도에 따라 단순 세척 또는 건물 외벽 교체를 결정해야 하고, 래커 훼손 부위를 교체하려면 해당 마감재로 구획된 부위를 전부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위 피해에 대해 학생들에게 책임을 묻겠다며 지난달 29일 총학생회장을 비롯한 학생 10여명을 공동재물손괴·공동건조물침입 등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소했다.

이에 학생들은 시위 원인 자체를 학교 측이 제공했다며 학교 측이 추정한 피해 복구 비용 역시 과도하다고 반발했다. 여기에 최근에는 한 청소업체가 동덕여대를 뒤덮은 래커칠 제거 시범 작업을 영상을 공유하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 업체 측은 래커칠 부분에 약품을 바른 뒤 스펀지 등으로 닦아내면서 "제거 작업을 2차까지 진행하니 90%는 쉽게 제거할 수 있었다"고 했다. 다만, 업체 측은 약품 원가 등의 이유로 비용은 다른 문제라고 했다.

이에 동덕여대 학생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은 '학교가 추정한 청소 경비는 설득력이 없다'는 반응을 쏟아냈다. 학생들은 "약품 하나로 이렇게 쉽고 빠르게 지울 수 있는 걸 학교가 20억~50억원이라는 금액을 거론하며 뻥튀기했다" "최소한의 청소업체 견적서도 없이 올린 설득력 없는 금액"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이에 동덕여대 측은 "사전에 발표한 추정 비용은 학생들에게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추가 훼손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며 "현재 시설팀이 정확한 견적을 산출 중"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동덕여대는 학생 측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만들어 남녀공학 전환 문제를 공론화하기로 했다. 동덕여대 처장단과 총학생회는 전날 5차 면담에서 내년 3월부터 6개월간 '공학전환공론화위원회'를 추진하기로 했다. 총학생회는 이날 입장문에서 "최소한 남녀공학 전환에 대해 대학 본부에 학생의 의견을 공식적인 자리에서 온전하게 전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복구
    #논란
    #피해
    #청소
    #업체
    #추정
    #동덕여대
    #금액
    #학교
    #학생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억대 뇌물받고 입찰편의 제공한 전 울산테크노파크 실장 징역7년
    서울신문
    0
  • 억대 뇌물받고 입찰편의 제공한 전 울산테크노파크 실장 징역7년
  • 2
  • 다시 뛰는 중장년, 영등포구가 밀어드립니다
    서울신문
    0
  • 다시 뛰는 중장년, 영등포구가 밀어드립니다
  • 3
  • 광진구 “구민 평생 배움터 제공하실 분 모십니다”
    서울신문
    0
  • 광진구 “구민 평생 배움터 제공하실 분 모십니다”
  • 4
  • 부산환경공단 신임이사장에 이근희...부산관광공사 이정실 사장은 연임
    서울신문
    0
  • 부산환경공단 신임이사장에 이근희...부산관광공사 이정실 사장은 연임
  • 5
  • 녹음 앱 지퍼소리…표창원 "살해 교사, 범행 은폐·도주 의심돼"
    아시아경제
    0
  • 녹음 앱 지퍼소리…표창원 "살해 교사, 범행 은폐·도주 의심돼"
  • 6
  • 부산, 공공심야약국 16곳 확대운영
    서울신문
    0
  • 부산, 공공심야약국 16곳 확대운영
  • 7
  • 천문硏, 나사와 함께 우주 생명체 탐사 나선다
    서울신문
    0
  • 천문硏, 나사와 함께 우주 생명체 탐사 나선다
  • 8
  • 용인시 "낡은 수도관 개량 지원해 드립니다"
    아시아경제
    0
  • 용인시 "낡은 수도관 개량 지원해 드립니다"
  • 9
  • 쓰레기 마구 버리던 숲길이 스마트팜으로
    아시아경제
    0
  • 쓰레기 마구 버리던 숲길이 스마트팜으로
  • 10
  • [단독] AI시대의 그늘…'딥페이크' 성범죄 6년새 20배로
    아시아경제
    0
  • [단독] AI시대의 그늘…'딥페이크' 성범죄 6년새 20배로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