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데일리뉴스=서태양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국토교통부가 사고기종인 보잉 B737-800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이 기종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에서 주력으로 운용되고 있어 안전성 점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부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B737-800 기종의 가동률, 점검 및 정비 기록을 포함해 정비 체계의 규정 준수 여부를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며 특별점검 방침을 밝혔다. 제주항공은 39대를 운영 중이며, 티웨이항공(27대), 진에어(19대) 등 국내 LCC 대부분이 이 기종을 운용하고 있다.
29일 발생한 사고는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랜딩기어 이상으로 인해 기체가 외벽과 충돌하며 벌어졌다. 사고기에는 181명이 탑승했으며, 179명이 사망하는 참사로 이어졌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조류 충돌 가능성을 조사 중이며, 관련 안전 규정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고 다음 날인 30일, 제주항공의 동일 기종 항공기에서 또다시 랜딩기어 이상이 발생해 김포공항으로 회항했다. 이 여파로 일부 승객은 불안감을 이유로 탑승을 포기했다. 이에 국토부는 "추가 사고 방지를 위해 정비 및 점검 체계를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사고기의 블랙박스(비행자료기록장치와 음성기록장치) 분석을 시작했으며,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보잉 관계자들이 조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특별점검이 항공기 안전성과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