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지난해 출생자 9년 만에 증가…고령화 추세는 지속
    입력 2025.01.03 11:07
    0

[ 아시아경제 ] 지난해 출생등록자 수가 9년 만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년기 및 생산연령 인구가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증가세는 유지됐다.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 결과, 우리나라 출생등록자 수가 24만2334명으로 직전년도보다 7295명 늘었다고 3일 밝혔다. 출생등록자 수는 2016년 이후 8년 연속 감소하다 지난해 3.10% 증가했다. 남아 출생등록이 12만3923명으로 여아(11만8411명)보다 많았다.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이후 5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2023년 5132만5329명에서 지난해 5121만7221명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여자가 2571만8897명으로 남자(2549만8324명)보다 22만명가량 많아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를 추월한 이래로 성별 인구 격차가 확대됐다.

주민등록 인구 평균연령은 45.3세로 남자가 44.2세, 여자는 46.5세였다.

출생자가 증가한 가운데 고령화 기조는 유지됐다. 60대 인구가 40대 인구를, 70대 이상 인구가 30대 인구를 넘어섰다.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50대가 870만6370명(17.00%)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60대(15.27%), 40대(15.08%), 70대 이상(12.94%), 30대(12.93%), 20대(11.63%), 10대(9.02%), 10대 미만(6.13%) 순이었다.

유소년과 생산연령 인구가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증가했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546만4421명으로 2023년 대비 3.52% 감소했다. 15~64세 생산연령 인구는 3549만6018명으로 1.21% 줄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25만6782명으로 같은 기간 5.41% 늘었다. 전체 주민등록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로 20%를 넘겼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구 격차는 확대됐다. 수도권 거주 인구는 지난해 2604만7523명으로 전체 인구의 50.86%에 달했다.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9898명(49.14%)이었다. 지난해 대비 수도권 인구는 0.13%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0.56% 감소해 인구 격차가 87만7825명으로 벌어졌다.

2023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자치단체는 광역 4곳, 기초 54곳이다. 경기·인천·충남·세종 순으로 인구가 늘었고 이외 1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시·군·구에서는 경기 화성시가 2만4479명이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고, 경기 양주시, 서울 강동구, 경기 파주시, 서울 강남구 등 54곳에서 인구가 증가했다.

특히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충남 예산군, 인천 강화군, 전남 영광군, 경기 가평군, 경북 안동시, 전남 신안군, 전북 순창군, 경북 울릉군의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우리나라는 5년 연속 인구가 감소했지만, 9년 만에 출생등록자 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며 "출생아 수 반전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업해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지속해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구가
    #지난해
    #지속
    #출생자
    #경기
    #감소
    #증가
    #고령
    #추세
    #수도권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나랑 내기할래?’…이승환, ‘美사진 합성’ 의혹 제기 유튜버에 “캐삭빵” 맞받았다
    서울신문
    0
  • ‘나랑 내기할래?’…이승환, ‘美사진 합성’ 의혹 제기 유튜버에 “캐삭빵” 맞받았다
  • 2
  • 헌재, 54일만에 열린 한덕수 탄핵심판 90분만에 종결
    아시아경제
    0
  • 헌재, 54일만에 열린 한덕수 탄핵심판 90분만에 종결
  • 3
  • 평택해경, 봄맞이 해양쓰레기 연안 정화활동 실시
    뉴스패치
    0
  • 평택해경, 봄맞이 해양쓰레기 연안 정화활동 실시
  • 4
  • 조성대 남양주시의회 의장, WFPL 8대 지자체 혁신평가 의정부문 ‘대상’ 수상
    아시아경제
    0
  • 조성대 남양주시의회 의장, WFPL 8대 지자체 혁신평가 의정부문 ‘대상’ 수상
  • 5
  • “신용카드 쓰면 갚아야 해요?”… 초·중·고 경제이해력 ‘낙제점’
    서울신문
    0
  • “신용카드 쓰면 갚아야 해요?”… 초·중·고 경제이해력 ‘낙제점’
  • 6
  • 시민단체, 군인권센터소장 경찰 고발…"경찰 지휘부 명예훼손 혐의"
    아시아경제
    0
  • 시민단체, 군인권센터소장 경찰 고발…"경찰 지휘부 명예훼손 혐의"
  • 7
  • 사람 죽이고 훔친 돈으로 로또…‘서산 렌터카 살인’ 김명현 징역 30년
    서울신문
    2
  • 사람 죽이고 훔친 돈으로 로또…‘서산 렌터카 살인’ 김명현 징역 30년
  • 8
  • 달리던 SUV 전봇대 ‘쾅’…70대 운전자 병원 이송
    서울신문
    0
  • 달리던 SUV 전봇대 ‘쾅’…70대 운전자 병원 이송
  • 9
  • 중학생 의붓아들 때려 숨지게 한 30대, 영장신청 세번째 만에 구속
    서울신문
    0
  • 중학생 의붓아들 때려 숨지게 한 30대, 영장신청 세번째 만에 구속
  • 10
  • 헌재 “헌법연구관 가짜뉴스 수사 의뢰 논의”
    서울신문
    0
  • 헌재 “헌법연구관 가짜뉴스 수사 의뢰 논의”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