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당정이 설 연휴 전날인 이달 27일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가운데 연휴가 끝난 31일로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1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임시공휴일을 27일이 아니라 31일로 해야 한다는 정원오 성동구청장 의견에 백배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론 그 전에 계엄과 내란으로 나라를 어지럽히고 민생과 경제를 추락시킨 주범에 대한 신병 처리는 반드시 마무리돼야 할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긴급체포 필요성도 강조했다.
앞서 8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비상 경제 안정을 위한 고위 당정협의회'를 마친 후 브리핑을 통해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의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께 휴식의 기회를 확대 제공하면서 삶의 질 개선에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부차적으로 명절 연휴 기간 확대로 인한 교통량 분산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5~26일 주말에 이어 28~30일 설 연휴까지 총 엿새를 연속으로 쉴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이러한 발표 직후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정 구청장은 페이스북에 "기왕 임시공휴일이 만들어진다면 침체한 경기를 활성화하겠다는 본 취지에 더욱 부합할 수 있도록 날짜를 신중히 지정할 필요가 있다"며 "많은 기혼 여성에게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오히려 명절 가사 노동 부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명절을 마치고 주말까지 휴식을 취하며 가족끼리 외식하거나 짧은 외출을 다녀올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소비를 촉진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정부 취지에 더욱 맞는다"고 했다.
하지만 기획재정부 측은 "지금 단계에서는 변경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