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기 고양시 서울문산고속도로 문산 방향 고양분기점 인근에서 차량 43대의 다중추돌 사고가 발생해 차량이 뒤엉켜 있다. 2025.1.14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제공
간밤 내린 눈과 비가 얼어붙은 ‘블랙아이스’(도로 살얼음)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다중 추돌 사고가 14일 수도권 곳곳에서 잇따라 발생하면서 출근길이 대혼란에 빠졌다.
도로 위에 얇은 막처럼 형성되는 얼음인 블랙아이스는 매연과 먼지가 함께 섞여 있어 투명하지 않고 검다. 운전자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도로 위 암살자’로도 불린다.
빙판길은 강추위가 닥쳤을 때나 조심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도로에 살얼음이 끼는 원리를 생각하면 절대 그렇지 않다.
블랙아이스는 ‘적당히 추울 때’도 많이 발생한다. 기온이 영상이었다가 밤이나 새벽에 영하로 떨어지는 때 도로 살얼음이 발생할 수 있다.
비나 눈이 내리거나 기존에 내려 쌓인 눈이 녹으면서 아스팔트 틈 사이로 스며든 물이 지표면 온도가 영하로 떨어졌을 때 얼면 블랙아이스가 된다.
13일 밤부터 14일 오전 사이 서울과 경기에서는 눈과 비가 섞여 내렸다. 이 눈과 비가 바닥에 떨어지면서 그대로 블랙아이스가 됐고, 길을 심하게 미끄럽게 만든 것이다.
블랙아이스가 발생하는 다른 원인은 ‘어는 비’다. 어는 비는 ‘액체인 비가 차가운 지면이나 물체에 닿아 급속히 얼면서 살얼음을 만드는 현상’을 말한다.
어는 비는 대기 중·상층에서 만들어진 눈이 기온이 영상인 대기 하층을 지나면서 비로 바뀌었을 때 나타난다.
결국 대기 하층 대부분은 기온이 영상인데 지표면 부근 일부만 영하일 때 강수가 있으면 어는 비 현상이 발생한다.
대기 하층도 영하일 땐 빗방울이 영하에도 빙정이 되지 못한 상태인 ‘과냉각수적’일 때 어는 비가 내린다.
같은 영하라도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구름 속 과냉각수적 빗방울이 많아진다는 점에서 어는 비는 한파 때보다는 추위가 다소 풀렸을 때 자주 나타난다.
시간대로는 출근 시간대가 제일 위험하다.
한국환경과학회 학회지에 2017년 발표된 논문(겨울철 노면에 발생하는 어는 비와 블랙아이스의 기상학적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에 따르면 어는 비에 의한 살얼음은 아침 기온이 가장 낮게 떨어지는 오전 6∼8시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날 낮 대부분 지역 기온이 영상으로 올랐다가 수요일인 15일 아침 영하로 곤두박질칠 전망이라 15일 출근길도 블랙아이스로 위험할 것으로 보인다.
#추돌
#블랙
#경기
#발생
#차량
#아이스
#사고
#아침
#위험
#도로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기뻐요
0
응원해요
0
실망이에요
0
슬퍼요
0
댓글
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디시트렌드에서 사용되는 모든 인물 이미지와 콘텐츠는 저작권 및 초상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만약 저작권 또는 초상권 침해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피드백 센터를 통해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주)디시인사이드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