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정부, 여의도 187배 ‘주인없는 땅’ 국유화 추진…2조 2000억원 규모
    세종 한지은 기자
    입력 2025.01.27 09:30
    0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정부가 전국 국토 면적의 1.6%를 차지하는 ‘주인 없는 땅’을 소유주에게 돌려주고 남은 땅은 국유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7일 미등기로 조사된 토지에 대해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면 간단히 등기할 수 있게 하고, 남은 토지는 국가가 관리하도록 하는 특별법(미등기 사정 토지 국유화 특별법)을 마련해 법무부를 비롯한 7개 부·처·청에 제도 개선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미등기 사정(査定) 토지란 일제강점기(1910~1935년) 토지 조사 당시 소유자와 면적·경계가 정해졌지만, 소유자의 사망이나 월북 등의 이유로 100년 넘게 등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땅을 의미한다.

이런 땅의 규모는 여의도(2.9㎢)의 약 187배인 544㎢(63만 필지)에 달해, 공시지가 기준으로 2조 2000억원이 넘는다. ‘금싸라기’로 불리는 서울 중구 명동에도 소유권이 불분명한 미등기 사정 토지가 3필지(약 1041㎡)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과거에는 등기가 아닌 계약만으로도 소유권 이전이 가능했다. 이후 1960년 민법 시행으로 등기가 의무화됐으나 비용 문제 등으로 등기하지 않은 사례도 많았다. 여기에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속자가 누구인지 알기 어렵거나 월북자·사망자가 소유자로 남아있는 경우가 생겼다.

대법원은 토지 소유권을 국민의 중요한 재산권으로 보고 사정명의인(초기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의 권리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점유자가 등기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런 토지가 공공·민간 개발 사업에 포함되면 소유권을 확인할 수 없어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일이 빈번했다. 또 주변 땅의 가치도 떨어지고, 불법 쓰레기 투기장 문제도 나타났다.

권익위는 미등기 사정 토지 관련 민원이 2012년 이후 약 7000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권익위가 이번에 마련한 특별법은 미등기 토지에 대해 초기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이나 그 상속자에게 우선 등기 기회를 주고, 나머지 땅은 국가가 소유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후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면 소유권을 돌려주거나 돌려줄 수 없는 경우에는 보상금을 지급한다.

아울러 권익위는 법무부·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행정안전부·법원행정처·조달청에 특별법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지원하라고 권고했다. 정동률 권익위 산업농림환경민원과장은 “권익위가 지난 4년간의 실태 조사와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특별법 초안을 작성했고, 이후 법무부가 각 부처와 면밀한 협의를 통해 국회에 법안을 제출하는 등 입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유철환 권익위원장은 “미등기 토지를 정리하면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민간 토지 개발사업도 더 빨리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관련 부처들과 협업해 올해 말까지 법률을 제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유화
    #위원회
    #정부
    #여의도
    #규모
    #추진
    #국민
    #위원장
    #토지
    #소유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뼈에서 영감” KAIST, 사용할수록 강한 신소재 개발
    아시아경제
    0
  • “뼈에서 영감” KAIST, 사용할수록 강한 신소재 개발
  • 2
  • 개학 보름도 안 남았는데 AI교과서 채택 완료한 학교, 전국의 '17%'
    아시아경제
    0
  • 개학 보름도 안 남았는데 AI교과서 채택 완료한 학교, 전국의 '17%'
  • 3
  • ‘국가기술 자격증’ 복사본, 건설회사에 전달···50대 브로커 구속
    서울신문
    0
  • ‘국가기술 자격증’ 복사본, 건설회사에 전달···50대 브로커 구속
  • 4
  • 尹측 “공소사실 인정 여부 확답 어려워”…내달 24일 2차 공판준비기일
    서울신문
    0
  • 尹측 “공소사실 인정 여부 확답 어려워”…내달 24일 2차 공판준비기일
  • 5
  • 경기도, 해빙기 공동주택 건설현장 점검…159건 지적사항 조치
    아시아경제
    0
  • 경기도, 해빙기 공동주택 건설현장 점검…159건 지적사항 조치
  • 6
  • 경기교육청, 학생 인공지능 윤리교육 강화…교과서·지도서 개발 보급
    아시아경제
    0
  • 경기교육청, 학생 인공지능 윤리교육 강화…교과서·지도서 개발 보급
  • 7
  • “거북이가 먹는 몸에 제일 좋은 식품”…암 명의가 극찬한 ‘이것’
    서울신문
    0
  • “거북이가 먹는 몸에 제일 좋은 식품”…암 명의가 극찬한 ‘이것’
  • 8
  • 이 드넓은 우주… 우린 혼자가 아니야
    서울신문
    0
  • 이 드넓은 우주… 우린 혼자가 아니야
  • 9
  • 올해부터 AI디지털교과서 수업… 제주, 중학교 신입생 6290명에게 노트북
    서울신문
    0
  • 올해부터 AI디지털교과서 수업… 제주, 중학교 신입생 6290명에게 노트북
  • 10
  • 평창군, 전국 첫 ‘반값 임업용 자재 지원 사업’ 시행
    아시아경제
    0
  • 평창군, 전국 첫 ‘반값 임업용 자재 지원 사업’ 시행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