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하시마(일명 군함도) 탄광을 포함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따른 후속 조치 과정에서 한국 측 요청을 계속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미 예견된 일"이라고 비난했다.
서 교수는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군함도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만든 산업유산정보센터, 즉 군함도 전시관을 군함도에서 1000㎞ 떨어진 도쿄에 세울 때부터 알아봤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 교수는 군함도 전시관이 후미진 곳에 위치해 찾아가기 쉽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일본 정부가 이 시설에 대해 뭔가 떳떳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했다. 군함도 내부 전시물 사진·영상은 절대 찍을 수 없는 점을 두고도 전시물이 외부로 유출돼 왜곡된 상황이 널리 알려질까 두려운 마음에 행한 조치라고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조선인 강제 동원 등 피해자들이 군함도에서 겪었던 참혹한 역사적 사실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가장 문제"라고 꼬집었다.
서 교수는 "지난 9년 동안 일본에 속아 왔다"며 "이젠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만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강제 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의 지속적 관심이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개한 후속 조치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산업유산정보센터에 한국인 강제 동원 피해자 증언 전시, 강제 노역 전체 역사 설명 등 등재 당시 했던 약속을 대부분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