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단독] 집·직장·학벌 먼저 ‘황금 티켓 증후군’…한국, 프랑스보다 0.96명 덜 낳는다
    세종 이현정 기자
    입력 2025.02.05 23:52
    0

1992년 합계출산율이 1.74명으로 한국(1.76명)보다 낮았지만 지금은 유럽 ‘출산 챔피언’이 된 프랑스, 세계 최저 수준으로 출산율이 곤두박질친 한국. 무엇이 두 나라의 차이를 만들었을까.

합계출산율 격차가 2023년 프랑스 1.68명, 한국 0.72명으로 2.3배가 벌어진 데에는 출산에 관한 인식과 가치관이 영향을 미쳤다는 조사·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정권마다 달라지는 땜질 저출산 대책을 짤 게 아니라 출산 의욕을 떨어뜨리는 심리적 허들을 낮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49세 한국·프랑스인 각각 2500명을 대상으로 출산 가치관을 조사한 ‘프랑스의 인구정책 사례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은 출산을 위해 갖춰야 할 모든 항목의 중요도를 프랑스인보다 높게 인식했다. ‘경제적 여건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한국이 94.3%로 프랑스(81.7%)보다 12.6% 포인트 높았고, ‘본인의 취업 상태’도 한국(87.5%)이 프랑스(82.1%)보다 중요하게 봤다. 주거 여건(한국 90.4%, 프랑스 87.1%), 일·생활 균형(한국 89.6%, 프랑스 83.4%)도 한국인이 더 중요하게 고려했다.

소득·노동·주거 불평등이 누적되고, 경제 안정이 삶의 중요한 목표가 된 ‘경쟁 사회’가 조건을 완벽하게 갖춰야 비로소 출산할 수 있다는 강박을 낳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22년 한국 저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 ‘황금 티켓 증후군’(안정된 선택지를 향해 온 나라가 달려드는 현상)이 수치로 입증된 셈이다.

사회 불신도 한국이 더했다. ‘사회가 공정하다’는 데 대해 프랑스인은 29.0%, 한국인은 9.6%만 동의했다. ‘소득 격차가 크다’는 데에는 한국인 80.0%, 프랑스인은 69.4%만 동의했으며, ‘출산율을 올리려고 정부가 충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데 프랑스인은 27.9%, 한국인은 7.7%만 동의했다. 이소영 선임연구위원은 “정책의 일관성과 조화, 자녀가 성장하는 동안 지원 정책이 유지될 것이라는 국민 신뢰도 프랑스 가족 정책의 효과성을 높인 주요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출산 후 경력 단절에 대한 불안도 한국(72.2%)이 프랑스(57.8%)보다 압도적으로 컸다. 지난해 한반도미래연구원 조사에서도 20~49세 남성의 20.1%가 결혼 기피 이유로 ‘경제적 불안’을 꼽았다. 비혼·기혼 가리지 않고 아이 있는 가정을 법적으로 지원하는 프랑스의 ‘등록동거혼’(PACS) 제도도 높은 출산율을 견인했다. ‘결혼 생각’은 프랑스(38.8%)가 한국(52.9%)보다 낮았으나 자녀 출산 의향(38.8%)은 한국(31.2%)보다 7.6% 포인트 높았다. 결혼이 출산의 허들이 된 한국과는 다른 모습이다.

    #프랑스
    #황금
    #증후군
    #보다
    #티켓
    #학벌
    #단독
    #한국
    #직장
    #출산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수도권 폭설 퇴근길 비상
    서울신문
    0
  • 수도권 폭설 퇴근길 비상
  • 2
  • 마약 취해 운전하다 ‘쾅’…대구 조폭, 징역 1년8개월
    서울신문
    0
  • 마약 취해 운전하다 ‘쾅’…대구 조폭, 징역 1년8개월
  • 3
  • 박춘섭 “비상계엄, 野 줄 탄핵 등이 원인…예산 삭감으로 ‘국정 마비’ 보고 안 했다”
    서울신문
    0
  • 박춘섭 “비상계엄, 野 줄 탄핵 등이 원인…예산 삭감으로 ‘국정 마비’ 보고 안 했다”
  • 4
  • 올겨울 경남 한랭질환 사망자 첫 발생…저체온증 80대
    서울신문
    0
  • 올겨울 경남 한랭질환 사망자 첫 발생…저체온증 80대
  • 5
  • 양대노총, 통상임금 지침에 "노동부 잘못된 해석 사과해야"
    아시아경제
    0
  • 양대노총, 통상임금 지침에 "노동부 잘못된 해석 사과해야"
  • 6
  • “내려와라 윤석열♬” 열창한 이승환…‘대관 취소’ 구미시장 상대 헌법소원
    서울신문
    0
  • “내려와라 윤석열♬” 열창한 이승환…‘대관 취소’ 구미시장 상대 헌법소원
  • 7
  • 곽종근 “계엄 때 지시 내용, 켜진 마이크로 생방송”
    서울신문
    0
  • 곽종근 “계엄 때 지시 내용, 켜진 마이크로 생방송”
  • 8
  • 檢, '분식회계 무죄' 이재용 상고 여부 외부 전문가 의견 듣는다
    아시아경제
    0
  • 檢, '분식회계 무죄' 이재용 상고 여부 외부 전문가 의견 듣는다
  • 9
  • 직원 처방 한약 빼돌려 300억어치 판 한방병원
    서울신문
    0
  • 직원 처방 한약 빼돌려 300억어치 판 한방병원
  • 10
  • 남양주시, 전국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6년 연속 최우수기관 선정
    아시아경제
    0
  • 남양주시, 전국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6년 연속 최우수기관 선정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