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749만 뷰’ 추성훈 유튜브… 배경음악 작곡가는 AI
    김우진 기자
    입력 2025.02.05 23:52
    0

“야노시호~ 화~ 났다~, 야노시호~ 화~ 났다~.”

5일 기준 조회수 749만을 기록한 운동선수 추성훈의 유튜브 채널 영상 배경음악이다. 추씨가 아내인 야노시호에게 사과하는 장면에서 이 노래가 나오는데 익살스러운 멜로디와 남성 성악가의 중후한 목소리가 대비되며 웃음을 자아낸다. 영상 댓글에는 “배경음악이 완벽하다”, “이런 노래는 대체 어디서 찾아오는거냐”며 재치있는 가사로 된 노래가 흘러나오니 재미가 더해져 계속 보게 된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된 이 음악의 작곡가는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AI)이다. AI 작곡 프로그램으로 영상 속 화면에 적합한 음악을 생성한 것이다.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느낌의 음악을 자유롭게 제작해 넣을 수 있어서 최근 유튜브 영상 등에 AI 작곡 프로그램이 활용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 포털사이트에서 ‘AI 작곡’이라고 검색한 뒤 노출된 홈페이지 중 한 곳에 접속해 음악을 만들어 봤다. 전체 과정은 채 10초가 채 걸리지 않았다. 프로그램에 ‘한파에 고통받는 직장인들의 설움을 담은 곡을 만들어줘’라고 입력하고 음악 장르만 선택하면 7~8초 정도 뒤 노래가 생성됐다. 서글픈 피아노 선율 위로 ‘출근길은 얼어붙은 거리, 눈 속에 묻힌 차들. 조금 더 일찍 나올걸’이라는 가사를 읊조리는 여성 가수의 목소리가 얹어졌다. 음악이 절정에 이르자 격해진 피아노 연주에 맞게 열정적인 가수의 고음도 터져나왔다.

다만 AI가 만든 음악을 창작물로 인정할 수 있는가에 대해선 여전히 논란이 크다. 이경전 경희대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는 “미국 특허청은 인간의 기여가 들어가야만 저작권으로 인정한다”며 “붓과 연필처럼 AI도 일종의 도구처럼 활용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AI가 생성한 음악은 저작권 문제만 해결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관측이다. 장준혁 한양대 인공지능융합대학원 교수는 “AI가 만든 음악에 대한 저작권 인정 범위만 정해지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향후 광고, 게임, 영화, 방송 등 음악이 필요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추성훈
    #음악
    #작곡가
    #야노
    #유튜브
    #노래
    #프로그램
    #작곡
    #배경
    #저작권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내년부터 담배 유해성분 의무 공개
    아시아경제
    0
  • 내년부터 담배 유해성분 의무 공개
  • 2
  • 중랑구 2025 사랑의 돼지저금통 모금액 전달식 개최
    아시아경제
    0
  • 중랑구 2025 사랑의 돼지저금통 모금액 전달식 개최
  • 3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유행주의보 해제
    아시아경제
    0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유행주의보 해제
  • 4
  • '2000명 증원'이 부른 역대급 의정 갈등 …개혁 커녕 뒷걸음만
    아시아경제
    0
  • '2000명 증원'이 부른 역대급 의정 갈등 …개혁 커녕 뒷걸음만
  • 5
  • 세종수목원 경제적 가치 평가액 ‘5644억원’
    아시아경제
    0
  • 세종수목원 경제적 가치 평가액 ‘5644억원’
  • 6
  • ‘고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파주시 홍보대사 해촉
    서울신문
    0
  • ‘고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파주시 홍보대사 해촉
  • 7
  • 고양시, 전기자동차 4700여 대 구매보조금 지원
    아시아경제
    0
  • 고양시, 전기자동차 4700여 대 구매보조금 지원
  • 8
  • 코레일, 상반기 2243명 채용…“공공기관 중 최다”
    아시아경제
    0
  • 코레일, 상반기 2243명 채용…“공공기관 중 최다”
  • 9
  • 떫은맛이 대머리를 구원하리니…탄닌산 이용 탈모 치료 기술 개발
    서울신문
    0
  • 떫은맛이 대머리를 구원하리니…탄닌산 이용 탈모 치료 기술 개발
  • 10
  • 여가부, '제2기 2030자문단' 발대식 개최
    아시아경제
    0
  • 여가부, '제2기 2030자문단' 발대식 개최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