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경기도가 만든 신도시인 수원 광교신도시가 개발 20년 만에 준공됐다.
경기도는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31일 공고를 내고 국내 최초 지방자치단체 건설 신도시인 광교신도시의 택지개발사업 준공 일자를 지난해 12월 31일로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2004년 6월30일 당시 건설교통부가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하면서 시작된 광교신도시 개발사업은 2005년 12월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가 사업 시행 개발계획을 확정 고시한 뒤 2023년까지 7단계 사업 과정을 거쳐 이번에 준공하게 됐다.
경기도는 이번 준공 발표에 대해 택지개발사업의 경우 종전 전·답 등 지목을 신규 녹지 및 대지 등으로 확정하고, 도로나 상하수도 같은 기반시설을 조성한 후 공급하는 것으로, 광교신도시 조성은 이런 기반시설 조성과 공급작업이 완료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광교신도시는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원천동, 하동과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일원에 10.8㎢(326만평)의 면적으로 조성됐다. 수원시가 88%, 용인시가 12%를 차지한다. 위례, 동탄, 판교 신도시 등과 함께 건설된 수도권 2기 신도시다. 지난해 말 기준 인구는 7만8571명으로 국내 신도시 중 최고의 녹지율(44.1%)과 국내 최저 인구밀도(72.8인/ha)를 가진 친환경 도시다.
광교신도시 경기융합타운에는 경기도청,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 한국은행 경기본부,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의119안전센터가 입주를 완료했다. 올해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입주하고, 경기도서관이 문을 연다. 전시관 및 중소회의실 등을 갖춘 수원컨벤션센터와 수원지방법원·검찰청, 고등법원·검찰청 등의 광교 법조타운도 2019년 완공됐다.
친환경 도시계획으로 녹지 축 보존을 위해 주거 면적 비율을 19% 수준으로 낮췄고, 녹지면적 비율을 전체 도시면적의 44.1%로 설정했다. 이는 판교 35%, 분당 20%, 일산 22%, 김포 28%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원천·신대호수를 품은 자연 친화적 공원 조성과 호수의 물을 정화해 상류로 공급하는 순환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2014년 ‘대한민국 경관대상’을 수상했다.
광역교통시설인 신분당 연장선 개통으로 강남까지 약 30분으로 출퇴근 시간 단축, 국도 43호선 상현교차로 확장, 북수원 민자도로 개통, 상현IC~삼막곡간 도로 등의 개통으로 교통환경도 좋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광교신도시는 계획 단계부터 조성, 준공, 분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주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조성한 도시"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체계적인 도시 관리와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