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이 "선거관리위원회 전산 시스템 보안점검 당시 보안관리가 부실했다"며 윤석열 대통령 측에 힘을 실어줬다. 윤 대통령 측은 '부정선거 의혹' 제기와 함께 선거 시스템 점검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11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참석한 백 전 차장은 "선관위 시스템이 최고의 보안 수준을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여러 취약점이 있었다"며 "외부로부터 내부 침투가 가능한 걸 포함해 문제점을 확인했고, 상당히 부족한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백 전 차장은 2023년 7월 선관위 보안 점검 당시 국정원에서 관련 업무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백 전 차장은 선거 시스템이 공격받는 경우 선거인명부의 탈취나 내용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선관위 시스템에 침투한 해커가 통합선거인명부의 내용을 변경이 가능했고, 이를 통해 통합선거인명부에 사전투표한 인원이 투표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 맞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알고 있다"고 했다.
이에 국회 측이 부정선거 가능성에 대한 반박에 나섰지만, 백 전 차장은 이에 대한 질의에 대답을 회피했다. 국회 측에서 '투표와 개표가 수많은 참관인이 참여한 가운데 이뤄지지는 것을 알고 있냐', '부정선거가 되려면 다수의 조력자가 조직적으로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묻자 "선거제도는 잘 몰라서 답변을 못 드린다", "부정선거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겠다"고 각각 대답했다.
또 선관위가 국정원 조사를 거부했다는 주장을 두고도 공방이 벌어졌다. 국회 측에서 '다른 헌법기관과 달리 선관위가 점검을 요청하지 않아서 이뤄지지 않은 것을 거부했다고 볼 수 있냐'는 질문에 "10년 전인 2015년에 거부했고, 이후에도 요청하지 않아 (점검을) 못 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2023년에 선관위에서 보안 점검과 관련해서 먼저 연락이 왔다. 점검을 받아본 적이 없으니까 방법을 논의하면서 처음으로 연락이 왔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