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최근 김모씨(29)는 중고거래 플랫폼 ‘중고나라’에 30만원짜리 재킷을 판매한다는 글을 올렸다 낭패를 봤다. 5분 만에 “의류를 사겠다”고 접근한 A씨가 ‘○○마켓(가짜 중고거래 사이트)’에 할인쿠폰이 있다며 웃돈을 얹어줄 테니 여기서 거래하자고 제안했다. 얼마 후 A씨는 입금을 완료했다고 전해왔다. 그 뒤 김씨는 사이트 관리자로부터 계좌번호가 잘못됐다며 보증금 50만원을 보내야 출금할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 하는 수 없이 돈을 입금했는데 뒤늦게 사기라는 것을 깨달았다.
최근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신종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판매자를 가짜 중고거래 사이트로 유인한 뒤 ‘계정을 정지시키겠다’며 보증금을 요구하는 식이다.
12일 경찰청에 따르면 중고거래 사기 피해 규모는 2020년 897억원에서 지난해 3340억원으로 3배 넘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검거율은 78.6%에서 56.3%로 낮아졌다. 일선 경찰서엔 중고거래 사기 신고가 빗발치고 있는데 피해액은 적게는 수십만원, 많게는 수백만 원에 달한다. 경찰청 관계자는 “사건이 병합돼야 시도청 차원에서 수사하도록 지휘할 수 있는데 아직 그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중고나라에는 이날 비슷한 사기 수법으로 피해를 봤다는 글이 수십여 건 올라왔다. 범죄 조직은 도메인을 바꿔 새로운 이름의 가짜 중고거래 사이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더치트 등 사기 공유 사이트를 우회하고 있다. 당장 확인 가능한 가짜 중고거래 사이트만 해도 세더리마켓·트레져마켓·푸름마켓 등 수십 개가 넘는다. 겉보기에는 일반적인 중고 거래 플랫폼과 별반 차이가 없다.
2차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 범죄조직은 가짜 중고거래 사이트에 피해자가 회원 가입을 하며 입력한 집 주소,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갖고 있다. 일부 피해자들은 “밤에 찾아가겠다”며 협박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만원 피해를 본 B씨는 “서민들의 돈을 편취하는 사기꾼이 마땅히 처벌받길 바란다”고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해당 범죄조직은 동남아 등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인터폴 수배 등 국제 수사 공조 요청을 통해 반드시 검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