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어르신들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한 후 당사자 몰래 소액 대출을 받거나 고가품을 구입하는 방법 등으로 약 36억원을 챙긴 일당 11명이 붙잡혔다.
충남경찰청은 휴대전화를 개통한 후 당사자 몰래 대출받고 물건을 구입한 혐의(사기, 전기통신법사업법 위반)를 받는 11명 가운데 모집·현금화 총책 2명(40대)과 휴대전화 소액대출 담당자 1명(40대) 등 3명을 구속 송치했다고 17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나머지 8명은 불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어갔다.
이들은 지난해 4~11월 충청·강원·수도권 등지에서 어르신들 명의를 빌려 휴대전화를 개통한 후 몰래 소액 대출을 받거나, 고가의 휴대전화 단말기를 할부로 구입하는 방법으로 36억원 상당을 챙긴 혐의를 받는다. '정부 통신 보조금을 받아주겠다"는 이들의 꾐에 속아 개인 정보를 넘긴 피해자는 46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일당은 통신기기 관련 정보에 취약한 고령자들에게 '휴대전화(유심)를 개통하면 개인 신용정보에 따라 100~150만원의 통신비를 지원해주겠다'고 속였다. 또 초기 피해자들에게 실제 10만~15만원을 지급해 입소문을 내는 방식으로 다른 피해자를 데려오도록 유인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각 지역에 모집책, 휴대전화 개통팀, 현금화팀을 두는 수법으로 조직적으로 범행했다. 모집책이 피해자를 모으면 휴대전화 개통팀이 개통하고, 이어 현금화팀이 해당 휴대전화를 이용해 소액결제, 고가 휴대전화 단말기 할부 구입, 인터넷 가입 등의 방법으로 이득을 챙겼다. 피해자들은 뒤늦게 청구된 막대한 채무에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들 일당의 은신처를 급습해 현금 7000만원과 휴대전화 공기계 20여대 등 모두 1억원 상당을 압수했다. 또 공범이 있는지 추가 조사를 하는 동시에 범죄 수익금 활용처를 추적 중이다. 충남경찰청 이승태 반부패수사대장은 "통신 보조금 등 자금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휴대전화 개통을 유도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