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이준석 개혁신당 국회의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아무리 오른쪽 깜박이를 켜도 본질적으로 반기업적, 반시장적 인물이라는 것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고 비판했다. 이는 이 대표가 '한국의 엔비디아'가 탄생하는 것을 가정하고 기업이 민간 지분 70%와 국민 지분 30%로 구성될 경우 세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가 올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지적이다.
이 의원은 2일 페이스북에 "이 발언만 봐도 이재명 대표가 아무리 오른쪽 깜빡이를 켜도 본질적으로 반기업적, 반시장적인 인물이라는 것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 그리고 정보기술(IT) 기업의 성장주기도 무시하고 있다"면서 "결국 예고된 대로 1차선에서 오른쪽 깜빡이를 켜고 좌회전하여 기업들을 혼란에 빠뜨릴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대한민국에도 엔비디아 같은 혁신 기업이 탄생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모두 같다. 하지만 기업이 성공하면 법인세를 가져가는 것도 모자라, 30%의 지분을 국민에게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지도자가 된다면, 과연 그 기업이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할 이유가 있을까"라고 반문하면서 "IT 기업의 성장주기를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국민 지분 30%'라는 발상이 얼마나 비현실적인지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젠슨 황(엔비디아 CEO) 지분율도 창업 초기 20%에서 시작해 IPO(기업공개) 후 점차 희석됐으며, 현재는 약 3.5%에 불과하다"고 설명하면서 "엔비디아 같은 글로벌 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창업자의 지분도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구조인데, 정부가 30%의 지분을 '국민 몫'으로 확보하겠다는 것은 기업 생태계를 전혀 모르는 발상"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산을 비정상적으로 깎아 종상향 시켜서 수익을 안겨주고, 금싸라기 땅을 화천대유에 넘기고, 일부를 공공이 회수했다고 자랑하는 것과 IT기업을 육성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이재명 대표가 백현동과 화천대유를 바라보듯 엔비디아를 바라보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앞서 이 대표는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의 국민 참여 프로젝트인 '모두의질문Q' 유튜브 채널 OPQR에 2일 공개된 영상에서 "생산성 향상의 결과물을 공동체가 일부나마 가지고 있었다면 세상이 달라졌을 것 같다. 또 공공영역이 가지고 있으면 그걸 나누는 시대도 가능하다"면서 "일례로 엔비디아 같은 회사가 생기고 30%가 국민 지분이라면 세금에 그렇게 의지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라고 발언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