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사회
백경현 시장 “경기도 GH 이전 중단 철회하라”…강한 유감 밝혀
    입력 2025.03.20 11:43
    0

[ 아시아경제 ] 백경현 구리시장은 20일 구리시 여성행복센터 대회의실에서 시정 현안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월 21일 경기도가 경기도시주택공사의 구리시 이전 절차 중단을 발표한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의 뜻을 알렸다.

백경현 구리시장이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GH 이전 절차 재개를 촉구했다.

백 시장은 "경기도-구리시-GH 간 협약에 의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는 GH의 구리시 이전 절차에 대해 협약 대상자와 아무런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행정절차 중단을 발표한 것은 지나친 행보"라고 말했다.

아울러, 경기도는 GH의 구리시 이전에 대한 협약을 준수하고 중단된 절차를 속히 개시해 조속한 시일 내에 GH가 구리시로 이전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백 시장은 구리시의 서울시 편입에 대한 의견은 2006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야 정치권을 막론하고 주장해 오던 것으로 근래에 들어서는 시민 주도의 서울 편입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현재 구리시에는 2024년 2월 민간이 주도하여 발족한 ‘구리가 서울되는 범시민추진위원회’가 활동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서울 편입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해 7월 실시한 서울 편입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중 66.9%가 서울 편입에 찬성하였기에, 구리시는 시의회의 예산 승인을 받아 서울 편입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는 것뿐이라고 밝혔다.

서울 편입과 GH 이전이 병행될 수 없다는 경기도의 주장에 대해서는, 지난해 GH 이전을 약속대로 추진하겠다는 경기도의 발표가 있을 당시에도 구리시에는 서울 편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고, 시민단체 역시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다며, 사업 중단의 이유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경기도가 공공기관 이전의 문제를 정치적 공방에 둠으로써 경기 남부권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반대에 명분을 쌓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서울 편입’과 ‘GH 유치’를 정쟁의 도구로 삼아 주민 간 분열과 자치단체 간 분쟁을 야기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백경현 시장은 “경기도가 스스로 무너트린 행정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GH의 구리시 이전에 대한 협약을 준수하고 중단된 절차를 속히 개시하여 이른 시일 내에 GH 이전을 완성하는 것이 광역자치단체로서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라며 조속히 GH 이전 절차 중지를 철회할 것”을 요청했다.

구리=이종구 기자 9155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시장
    #강한
    #서울
    #철회
    #편입
    #유감
    #이전
    #구리시
    #중단
    #경기도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사후조치 부족"…'안영미 생방송 욕설'에 방심위, 중징계 의결
    아시아경제
    0
  • "사후조치 부족"…'안영미 생방송 욕설'에 방심위, 중징계 의결
  • 2
  • 의대 절반 '전원 등록'…'집단휴학 종료' 정상화 기대감 ↑
    아시아경제
    0
  • 의대 절반 '전원 등록'…'집단휴학 종료' 정상화 기대감 ↑
  • 3
  • “산불 피해복구에 써달라”…80대 강서구 독거노인 500만원 성금
    아시아경제
    0
  • “산불 피해복구에 써달라”…80대 강서구 독거노인 500만원 성금
  • 4
  • 광주광역시 어린이집 화재···교사들 침착한 대응 ‘참사 막았다’
    서울신문
    0
  • 광주광역시 어린이집 화재···교사들 침착한 대응 ‘참사 막았다’
  • 5
  • 추락 구조물에… 프로야구 초유의 관중 사망사고
    서울신문
    0
  • 추락 구조물에… 프로야구 초유의 관중 사망사고
  • 6
  • 대형 산불마다 등장하는 산불 ‘지휘권’ 논란…국립공원 관리도 ‘도마’
    서울신문
    0
  • 대형 산불마다 등장하는 산불 ‘지휘권’ 논란…국립공원 관리도 ‘도마’
  • 7
  • 이천시, 대형 공사장 인근 주변 지반 안전성 긴급 점검 실시
    아시아경제
    0
  • 이천시, 대형 공사장 인근 주변 지반 안전성 긴급 점검 실시
  • 8
  • 취약계층 재난에 또 속수무책… 노령층 28명 생명 앗아간 화마
    서울신문
    0
  • 취약계층 재난에 또 속수무책… 노령층 28명 생명 앗아간 화마
  • 9
  • “여기 있으면 죽어, 가”…산불에 목줄 풀어준 대추가 다시 돌아왔다
    서울신문
    0
  • “여기 있으면 죽어, 가”…산불에 목줄 풀어준 대추가 다시 돌아왔다
  • 10
  • "단짠 단짠 오늘은 참으세요"…'삼삼한 데이' 무슨 날?
    아시아경제
    0
  • "단짠 단짠 오늘은 참으세요"…'삼삼한 데이' 무슨 날?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