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디시트렌드
5
0
사회
[신간] 전자책 ‘뱃길의 조선, 터널의 한국’ 발간
    박지훈 기자
    입력 2025.03.25 08:08
    0

[서울=RNX뉴스] 박지훈 기자 = 전자책 ‘뱃길의 조선, 터널의 한국’이 발간됐다.

‘뱃길의 조선, 터널의 한국’은 우리 역사 속 건설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다루고 있다.

조선 시대는 한강, 낙동강, 대동강, 영산강 등 전국의 큰 강들이 물류의 동맥, 즉 고속도로 역할을 했다.

하지만 근대 이후 철도와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뱃길 대신 철로와 신작로가 등장했다.

또 철로와 신작로의 등장과 함께 전국 방방곡곡 터널이 등장했다. 이를 상징적으로 말해 ‘뱃길의 조선, 터널의 한국’이란 제목이 나오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뱃길의 조선, 터널의 한국’은 단순히 역사 속의 도시기반시설(사회 간접 자본, Social Infrastructure)을 나열해 놓은 책이 아니다.

대신 건설 전문가의 시각에서 시대별 건설 유산에 대한 배경과 숨은 이야기들, 다시 말해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흥미로운 에피소드들을 담았다.

건설 전문가들은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 책의 미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첫째, 이 책은 강과 산, 바다와 같은 ‘움직일 수 없는 지리적 존재’를 활용한 인간의 창의력에 초점을 맞췄다.

강은 원래 직선으로 흐르지 않고, 산은 누군가를 위해 옆으로 비켜주지 않으며, 바다는 쉽게 다리 놓기를 허락하지 않는다.

저자  박원호 기술사

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이들 자연의 특징을 활용해 도시를 세우고 문명을 꽃피웠다. 예컨대 조선 시대에 배를 타고 큰 강을 따라 세곡(조세미)을 운반하던 물류 시스템은 현대의 고속도로 못지않은 효율성을 자랑했다.

‘낙동강, 영산강, 한강 등은 우리 조상들의 1차선 고속도로였다’라고 농담처럼 말할 수 있을 만큼 말이다.

둘째, 이 책은 건설 기술의 진화 과정을 유쾌하게 풀어냈다.

고대에는 흙을 쌓아 만든 제방과 돌다리를 자랑했다면 현대에는 터널을 뚫고 고층 빌딩을 세우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 모든 과정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고민과 철학을 담고 있다.

예컨대 터널을 뚫던 시절의 엔지니어들이 ‘산은 높고, 기술은 아직 낮았지만 우리 의지는 그 사이를 파고들었다’고 말하며 도전을 즐겼다는 점은 지금도 우리에게 웃음과 감탄을 안겨준다.

셋째, 이 책은 건설 인프라를 통해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창을 제공한다.

‘신은 세상을 창조했지만, 인간은 도시를 창조했다.’ 이 말처럼 인간이 도시를 창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히 집을 짓고 도로를 깔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인간은 항상 연결을 원한다. 강은 물길을 통한 교류를, 산길은 새로운 문화를, 바다는 모험과 확장을 가능케 했다.

‘치산치수(治山治水)’, 즉 ‘산을 관리하고 물을 관리한다’는 말은 유사 이래 국가의 책무였다. 산을 관리하는 일은 산의 나무를 관리하고 산사태를 방지하는 일이고, 물을 관리한다는 말은 홍수 예방, 관개 수리 사업, 포구 관리 등을 말한다.

결국 이 책은 과거를 통해 현재를 돌아보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지혜를 주고자 했다. 강을 길들이고, 산을 넘어가며, 바다를 항해했던 우리의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기반이며 내일의 방향이다.

이 책이 독자 여러분께 건설 이야기가 단지 돌과 흙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삶의 근간을 이루는 철학이자 문화라는 사실을 전달하는 데 성공했기를 바란다.[사진=도서출판 은누리 제공]

    #뱃길
    #우리
    #인간
    #바다
    #관리
    #조선
    #터널
    #한국
    #전자책
    #발간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내연 관계로 낳은 아기 2명, 출산 직후 팔아 넘긴 40대 남녀
    아시아경제
    0
  • 내연 관계로 낳은 아기 2명, 출산 직후 팔아 넘긴 40대 남녀
  • 2
  • 주광덕 시장 “나 자신이 가장 존귀한 존재…꿈 실현의 시작”
    아시아경제
    0
  • 주광덕 시장 “나 자신이 가장 존귀한 존재…꿈 실현의 시작”
  • 3
  • 외국인 관광객 북적이는 부산
    서울신문
    0
  • 외국인 관광객 북적이는 부산
  • 4
  • [단독] 이종호 휴대전화 부순 측근, 조사 당일 피의자 전환...수 차례 탐문수사로 현장 포착
    서울신문
    0
  • [단독] 이종호 휴대전화 부순 측근, 조사 당일 피의자 전환...수 차례 탐문수사로 현장 포착
  • 5
  • '드론실증도시' 이천시, 첨단 드론 기업 유치 첫 결실
    아시아경제
    0
  • '드론실증도시' 이천시, 첨단 드론 기업 유치 첫 결실
  • 6
  • 가상자산 투자 '회삿돈 43억 횡령' 황정음에 징역 3년 구형
    아시아경제
    0
  • 가상자산 투자 '회삿돈 43억 횡령' 황정음에 징역 3년 구형
  • 7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대학생 인턴과 간담회 가져
    Tour Korea
    0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대학생 인턴과 간담회 가져
  • 8
  • 고양드론앵커센터, 전국 지자체 드론산업 협력의 장으로 부상
    아시아경제
    0
  • 고양드론앵커센터, 전국 지자체 드론산업 협력의 장으로 부상
  • 9
  • 월세도 안 내고 집 짓는 불청객…8월 ‘벌 쏘임 주의보’, 당국도 경고
    서울신문
    0
  • 월세도 안 내고 집 짓는 불청객…8월 ‘벌 쏘임 주의보’, 당국도 경고
  • 10
  • 경기도, 25일 국회서 '반환 미군기지 개발 활성화' 토론회
    아시아경제
    0
  • 경기도, 25일 국회서 '반환 미군기지 개발 활성화' 토론회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닫기
  • 투표
  • 기념&응원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