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37.9k
디시트렌드
5
37.9k
오픈 안내
닫기
사회
“여는 때리 직이도 안 옵니더”…거제 조선소는 왜[청년 블루칼라 리포트]
    거제 반영윤 기자
    입력 2025.07.21 10:30
    2
  • 조선소에서 일하는것보다 편의점 알바가 돈 더 잘번다
  • 답글0
  • 조선소 파업하는거 뭐라하는 인간들은 즈그 직장 월급 1/3 토막되면 고분고분 일할건지 실험 해보고싶다
  • 답글0

2022년 열악한 조선소 하청노동자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선박 건조장 ‘점거농성’을 벌였던 유최안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 연합뉴스
2022년 열악한 조선소 하청노동자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선박 건조장 ‘점거농성’을 벌였던 유최안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 연합뉴스

“젊은 애들은 이제 거제로 안 옵니더. 일은 같은데 돈은 쪼매 준다 아입니까. 여는 때리 직이도 안 옵니더….”

지난 10일 오후 7시쯤 경남 거제시 아주동의 한 치킨집에서 만난 홍두표(43)씨는 4년째 막내인 자신의 처지를 토로했다. 홍씨는 대기업 하청업체에서 철 구조물에 페인트와 같은 도료를 입히기 전 ‘파워툴’(그라인더)로 표면을 정리하는 일을 주로 한다. 15년차 도장공인 홍씨의 회색 작업복 구석구석에는 페인트 분진과 쇳가루가 묻어 있었다. 홍씨와 함께 생맥주를 단숨에 들이키던 20년차 도장공 양정진(49)씨는 “한여름 열을 받은 선박 표면은 장갑을 낀 채 만져도 따끔할 정도로 뜨겁다”며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 일해도 최저임금 수준으로 돈을 주니 젊은 사람들이 이곳을 더 이상 찾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2000년대 호황이 다시 찾아왔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조선업은 ‘수퍼사이클’(초호황기)에 접어들었지만, 조선업의 중심이자 블루칼라의 상징과도 같았던 거제는 한없이 늙어가고 있다. 조선업 종사자들과 거제 주민들은 젊은 기술자들이 거제를 떠나 반도체 공장이나 석유화학 공단이 있는 경기 평택, 충북 청주, 전남 여수, 충남 서산 등으로 간다고 입을 모았다. 가장 큰 문제인 원청과 하청의 임금 격차를 비롯해 열악한 처우, 위험한 작업환경에 실망한 탓이다. 10여년전 조선업이 불황에 직면했을 때 하청업체 중심으로 벌어진 대규모 인력 감축으로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여전한 것도 한몫한다.

지난 10일 오후 6시 30분쯤 경남 거제시 아주동의 한 김밥집이 텅 비어 있다. 10년 전만 해도 이곳은 간단하게 저녁을 해결하려는 20~30대들로 붐볐다고 한다.
지난 10일 오후 6시 30분쯤 경남 거제시 아주동의 한 김밥집이 텅 비어 있다. 10년 전만 해도 이곳은 간단하게 저녁을 해결하려는 20~30대들로 붐볐다고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거제시 20~30대 인구는 4만 4826명으로, 10년 전인 지난 2014년(7만 6226명)에 비해 41.2% 줄었다. 시 전체 인구가 같은 기간 4.6%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20~30대의 감소세는 유독 가파르다.

10년 전만 해도 인근 블루칼라 직장인 수백명이 쏟아져 나왔던 아주동에서도 이제 사람 찾기가 어려워졌다. 특히 20~30대로 보이는 청년들은 자취를 감췄다. 아주동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김종수(72)씨는 “2000년대만 해도 새벽 5시에도 젊은 사람들이 거리에 바글바글했다”며 “그땐 직원들도 5명이나 써야 겨우 손님을 쳐냈는데, 지금은 혼자서 일해도 충분하다”고 전했다.

지난달 말 기준 거제시에는 선박 구성·도금 도장·금속 조립 등 조선 관련 업체가 59곳 운영되고 있고, 조선업 종사자는 3만 6512명이다. 2015년 조선 관련 업체가 58곳, 종사자가 5만 8927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만명 넘게 줄었다.

2009년 거제 조선소에서 일을 시작한 용접공 김모(35)씨도 고향인 거제를 떠났다. 평택과 이천에서 일하다 몇 년 전 인천의 한 석유화학 공장에 자리잡았다. 김씨는 “거제의 재하청 업체에선 일당 5만원을 받았지만, 석유공장은 똑같은 재하청인데도 25만원을 받는다”고 했다. 충주의 한 반도체 공장 하청업체 용접공인 이모(30)씨도 “이곳은 원청과 하청의 임금 차이가 10% 정도다. 기술 보조 인력조차 하루 18만원을 가져간다”고 전했다.

국대 빅3 조선소 중 한 곳인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본사 모습.  연합뉴스
국대 빅3 조선소 중 한 곳인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본사 모습. 연합뉴스

20~30대 사이에 블루칼라 바람이 다시 분다고 하지만 대기업(원청)·중소기업(하청), 정규직·비정규직 등으로 양분돼 격차가 벌어지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어떤 도시든 거제처럼 쇠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년 차 용접공 박모(48)씨는 “여름휴가도 하청은 1주일이지만, 원청은 2주일 이상을 갈 때도 있다”며 “이런 문제조차 차별이 수십 년째 이어지는데 누가 이곳에서 일하려 하겠나”라고 말했다.

김중희 거제시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사무국장은 “용접이나 배관 일을 해도 조선소는 하루 9시간 근무에 일당 15만원부터 시작하지만, 반도체나 석유화학 공단에선 8시간 일하고 20만원이 기본”이라며 “조선업에 자리 잡은 이중구조가 해결되지 않으면 젊은 기술자들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젊은 기술자들이 빠져나간 자리를 지금은 외국인 노동자가 메우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제조업(E-9-1) 및 일반기능인력(E-7-3) 비자로 거제로 온 이주노동자는 8636명으로 1년 전(7211명)에 비해 19.8% 늘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가 방치돼 심화되면 반도체 공장 등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들도 거제처럼 청년들이 떠나는 곳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루
    #조선소
    #이도
    #제시
    #거제
    #칼라
    #해도
    #조선업
    #경남
    #하청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5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7
  • 슬퍼요
  • 슬퍼요
  • 1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회 주요뉴스
  • 1
  • 임태희 교육감 "사회정서학습 기반 인성교육으로 갈등 넘어 협력"
    아시아경제
    0
  • 임태희 교육감 "사회정서학습 기반 인성교육으로 갈등 넘어 협력"
  • 2
  • 부산고·주례여고 ‘자공고 2.0’ 지정…해양·AI, K-콘텐츠 인재 육성
    서울신문
    0
  • 부산고·주례여고 ‘자공고 2.0’ 지정…해양·AI, K-콘텐츠 인재 육성
  • 3
  • 청주 오송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 한다...다음 달 25일까지
    서울신문
    0
  • 청주 오송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 한다...다음 달 25일까지
  • 4
  • 경찰, '이준석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 지역정치인 소환 조사
    아시아경제
    0
  • 경찰, '이준석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 지역정치인 소환 조사
  • 5
  • 경북 포항시, 통합주거복지정책 실현 돌입…‘천원주택’ 500호 공급
    서울신문
    0
  • 경북 포항시, 통합주거복지정책 실현 돌입…‘천원주택’ 500호 공급
  • 6
  • “결혼 안 해도 아이는 낳아요”…韓 혼외자 ‘역대 최고’ 왜
    서울신문
    0
  • “결혼 안 해도 아이는 낳아요”…韓 혼외자 ‘역대 최고’ 왜
  • 7
  • ‘사기 혐의’ 세계라면축제 대표 소재불명…경찰, 지명수배 내려
    서울신문
    0
  • ‘사기 혐의’ 세계라면축제 대표 소재불명…경찰, 지명수배 내려
  • 8
  • 포스코, 직장 어린이집 아이 위한 여름 체험 프로그램 운영
    서울신문
    0
  • 포스코, 직장 어린이집 아이 위한 여름 체험 프로그램 운영
  • 9
  • "민폐 빌런에 지쳤다" 20년 넘게 화장실 개방한 주유소 사장 결국
    아시아경제
    0
  • "민폐 빌런에 지쳤다" 20년 넘게 화장실 개방한 주유소 사장 결국
  • 10
  • 김동연 지사 "책임 미루지 말고 시민 입장서 손에 물 묻히는 일 해라"
    아시아경제
    0
  • 김동연 지사 "책임 미루지 말고 시민 입장서 손에 물 묻히는 일 해라"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닫기
  • 투표
  • 기념&응원
  • 스타마켓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