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내년 출범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재무부 장관으로 헤지펀드 키 스퀘어 그룹의 스콧 베센트 최고경영자(CEO)가 발탁된 가운데 이것이 미국의 관세장벽에 억눌린 중국의 숨통을 틔워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세 정책에 상대적으로 온건파인 베센트가 미국의 경제 사령탑으로 부임하면서 중국이 미국과 협상할 여지가 생겼다는 평가다.
블룸버그통신은 24일(현지시간) "베센트가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될 경우 관세에 있어서는 중국이 여유를 갖게 될 수 있다"며 베센트의 발언을 조명했다. 베센트는 대선 직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도널드 트럼프가 요청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것"이라면서도 "관세에 있어선 점진적으로 부과하는 방안을 제언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을 옹호해온 베센트가 인플레이션 우려 등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톤다운'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 이유다.
중국 상무부에서 컨설턴트로 일해 온 존 공 베이징 국제경영경제대학 교수는 "월가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며 "이는 베이징에 좋은 소식"이라고 평가했다. 국무부 장관에 내정된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낙점된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 등 새 행정부 외교·안보 라인이 대(對)중국 강경파로 채워진 가운데 베센트가 내각 내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진단이다.
다만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서 중국 담당 수석 이사를 에이미 셀리코는 "베센트가 중국 정부와의 잠재적 소통 창구 역할을 하게 되면 양측 모두에 여유가 생길 것"이라면서도 "모든 게 순탄하게 진행될 것이란 의미는 아니다"고 일축했다.
베센트는 중국 위안화 가치의 의도적인 평가절하를 지적해온 인물 중 하나다. 그는 지난 6월 한 콘퍼런스에서 "그들(중국)은 대규모 평가절하를 했고 노동력과 부동산을 감가상각했다"며 "위안화와 달러의 관계는 우리가 조사해야 할 문제"라고 언급한 바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이던 2019년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던 이력이 있음을 고려하면 차기 행정부에서 중국 기업들이 미 연방 계약 경쟁에서 배제되는 제재가 다시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베센트는 지난 8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을 미국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위험으로 묘사한 이력도 있다. 그는 "우리 제약 산업의 핵심 성분 중 상당수가 중국에서 나온다는 걸 누가 알았겠냐"며 의약품 등의 즉각적인 온쇼어링과 중국을 대체할 새 희토류 공급원을 탐색할 것을 촉구했다.
베센트는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재무부 장관에 임명되면 정책 우선순위는 트럼프 당선인의 각종 감세 공약을 이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시절 소득세 인하 조치 영구화를 비롯해 팁, 초과 근무 수당, 사회보장 혜택에 대한 면세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베센트는 또 관세와 정부 지출 감소를 포함해 "달러를 세계의 기축 통화로 유지하는 것"도 초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