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탄핵안 가결도 빨랐다" 외신 주목한 한국 '빨리빨리' 문화
    입력 2024.12.18 15:01
    1
  • 내란이라고 선동하니 진짜 내란인줄 알더라~
  • 답글0

[ 아시아경제 ]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지 불과 11일 만에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과정을 두고 한 외신이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를 주목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탄핵안 가결과 관련해 "한국의 '빨리빨리'(Hurry Hurry) 문화가 도움을 줬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계엄 정국을 둘러싼 한국 정치권과 시민들의 신속함을 다뤘다. 블룸버그는 계엄 선포 후 채 2주도 채 되지 않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것을 두고 "효율성과 갈등 해결을 극대화하며 급속도로 산업화를 이룬 한국의 문화를 암시한다"고 했다. 또 빨리빨리 문화가 긍정적으로 발현되면서 한국이 글로벌 공급망의 정상에 오르고 산업, 정치, 대중문화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게 해줬다고 소개했다.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탄핵 촉구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허영한 기자

블룸버그는 삼성, 현대 등 대기업의 성공 배경에도 대담한 변화를 수용하는 빨리빨리 정신이 자리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후 국가 재건 사업도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은 빨리빨리 정신을 기반으로 급속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한국에 대해 "채 100년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일본의 점령에서 벗어나 북한과 전쟁에서 살아남았으며, 빈곤한 농업 경제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중 하나로 변화시키며 국내총생산(GDP)이 50년 전의 85배 수준으로 성장했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이처럼 한국의 경제 성장에 기여한 빨리빨리 문화가 이번 계엄 정국에서도 드러났다고 진단했다. 이 매체는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이후 한국인들은 단결해 반발하는 데에 어떤 시간도 지체하지 않았다"면서 "수천 명의 시위대가 서울 거리로 쏟아져나와 응원봉을 들고 K팝 히트곡에 맞춰 춤을 췄다"고 전했다. 시위에 참여한 한 시민은 블룸버그에 "빨리빨리 문화는 매우 강력한 도구"라면서 "이는 한국이 다른 국가들은 하지 못하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만드는 큰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빨리빨리 문화에 부작용과 부정적인 함의도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빨리빨리'는 인내와 생존을 내포하는 감정"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블룸버그에 "한국인들은 자신을 표현하는 것에 부끄러움이 없다"면서 "우리는 매우 열정적이며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강한 집착이 있다"고 말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외신
    #블룸
    #주목
    #계엄
    #경제
    #문화
    #탄핵
    #한국
    #그느
    #블룸버그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벚꽃 보려고 일본 여행 예약했는데"…올해만 31번 분화한 화산에 '걱정'
    아시아경제
    0
  • "벚꽃 보려고 일본 여행 예약했는데"…올해만 31번 분화한 화산에 '걱정'
  • 2
  • 빅터 차 "트럼프, 北 비핵화보다 美우선주의 초점"
    아시아경제
    0
  • 빅터 차 "트럼프, 北 비핵화보다 美우선주의 초점"
  • 3
  • 과학자들 소름 끼치게 한 야생물고기 “얼굴 보더니 바로…”
    서울신문
    0
  • 과학자들 소름 끼치게 한 야생물고기 “얼굴 보더니 바로…”
  • 4
  • 美 연준 부의장 "생성형AI, 자산 거품·붕괴 촉진" 경고
    아시아경제
    0
  • 美 연준 부의장 "생성형AI, 자산 거품·붕괴 촉진" 경고
  • 5
  • 비호감 머스크 탓… 테슬라 ‘휘청’
    서울신문
    0
  • 비호감 머스크 탓… 테슬라 ‘휘청’
  • 6
  • 덴마크, 방위비 대폭 증액 예고…"냉전 때보다 심각"
    아시아경제
    0
  • 덴마크, 방위비 대폭 증액 예고…"냉전 때보다 심각"
  • 7
  • 日자민당, 이시바 ‘전후 80년 담화’ 놓고 신경전
    서울신문
    0
  • 日자민당, 이시바 ‘전후 80년 담화’ 놓고 신경전
  • 8
  • 중국 왕이, "우크라 평화 노력 지지" 강조
    아시아경제
    0
  • 중국 왕이, "우크라 평화 노력 지지" 강조
  • 9
  • [최준영의 월드+]우크라이나 전쟁의 끝과 새로운 시작
    아시아경제
    0
  • [최준영의 월드+]우크라이나 전쟁의 끝과 새로운 시작
  • 10
  • 3만9천엔 내준 日증시…트럼프 車 관세 부과 '악재'
    아시아경제
    0
  • 3만9천엔 내준 日증시…트럼프 車 관세 부과 '악재'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