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러 "한반도 현 상태 깨트리지 않는 게 한국에 이익"
    입력 2024.12.18 20:11
    0
연합뉴스

[ 아시아경제 ] 러시아 정부가 한반도의 현 상태를 깨트리지 않고 북한·러시아와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한국을 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주동자들이 비상계엄 선포를 정당화하기 위해 한반도 갈등을 유발하려고 했다"는 보도에 대한 견해를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한반도의 현 상태를 깨트리려는 시도를 자제하고 가장 가까운 이웃들과 선린 관계 회복 및 건설적인 교류의 길로 돌아가고 이미 어려워진 이 지역의 상황을 악화하지 않도록 하는 게 한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계엄 선포를 둘러싼 모든 상황을 조사해 각종 정보의 진상을 확인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한국이 북한을 도발해 상황을 불안정하게 한 뒤 북한을 비난하거나 책임을 돌리는 계획을 정기적으로 실행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불안은 한국에서 비롯했으며 상황의 불안정은 한국 국민이 아닌 미국이 필요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지난 17일 한국 정부가 러시아와 북한의 개인·법인에 대해 대북 독자 제재를 부과한 것과 관련해 "이유는 명확하다. 한국 국민에게 '위협이 북한과 러시아에서 온다'는 가짜 정보를 심으려는 것"이라고 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상황
    #자하
    #이익
    #경제
    #반도
    #한국
    #북한
    #러시아
    #대변인
    #로바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720조원 갚으라는 트럼프, 우크라 ‘영구 식민지’ 삼겠다는 것”
    서울신문
    0
  • “720조원 갚으라는 트럼프, 우크라 ‘영구 식민지’ 삼겠다는 것”
  • 2
  • 트럼프 “수입산 자동차 관세는 25% 정도”
    서울신문
    0
  • 트럼프 “수입산 자동차 관세는 25% 정도”
  • 3
  • 日자민당, 이시바 ‘전후 80년 담화’ 놓고 신경전
    서울신문
    0
  • 日자민당, 이시바 ‘전후 80년 담화’ 놓고 신경전
  • 4
  • '완전히' 뒤집히고 불탔지만 사망 0명…'허드슨강의 기적' 지상버전 어떻게
    아시아경제
    0
  • '완전히' 뒤집히고 불탔지만 사망 0명…'허드슨강의 기적' 지상버전 어떻게
  • 5
  • 해리스 전 美 부통령 연예기획사와 계약...정계 복귀 관심
    아시아경제
    0
  • 해리스 전 美 부통령 연예기획사와 계약...정계 복귀 관심
  • 6
  • 불타고 뒤집혔는데 ‘80명 전원 생존’ 기적…비결은 ‘이것’이었다
    서울신문
    0
  • 불타고 뒤집혔는데 ‘80명 전원 생존’ 기적…비결은 ‘이것’이었다
  • 7
  • 딥시크 이어 ‘너자2’ 흥행 돌풍… 中 소프트파워, 세계를 흔들다
    서울신문
    0
  • 딥시크 이어 ‘너자2’ 흥행 돌풍… 中 소프트파워, 세계를 흔들다
  • 8
  • “감히 전 여친이랑 연락해?” 1170㎞ 내달려 ‘썸남’ 집 불 지른 20대 美남성
    서울신문
    0
  • “감히 전 여친이랑 연락해?” 1170㎞ 내달려 ‘썸남’ 집 불 지른 20대 美남성
  • 9
  • "한국을 믿지 말라"는 중국판 인스타…미국 누리꾼 유입에 우려 커져
    아시아경제
    0
  • "한국을 믿지 말라"는 중국판 인스타…미국 누리꾼 유입에 우려 커져
  • 10
  • [최준영의 월드+]우크라이나 전쟁의 끝과 새로운 시작
    아시아경제
    0
  • [최준영의 월드+]우크라이나 전쟁의 끝과 새로운 시작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