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개죽이’가 왜 거기에…러시아 파병 북한군 시신에서 나와
    윤창수 전문기자
    입력 2025.01.26 12:00
    0

러시아 파병 북한군 시신에서 나온 가족사진 아래에 2002년부터 한국에서 인기를 끈 밈 ‘개죽이’가 합성돼 있다.연합뉴스
러시아 파병 북한군 시신에서 나온 가족사진 아래에 2002년부터 한국에서 인기를 끈 밈 ‘개죽이’가 합성돼 있다.연합뉴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장교의 유류품이 지난 9일 공개된 가운데 사망 병사의 가족사진에서 한국 인터넷에서 유행한 합성사진 ‘개죽이’가 발견됐다.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재단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NK 인사이더가 우크라이나 특수전사령부를 통해 공개한 북한군 장교의 수첩에는 신분증과 가족사진, 전쟁 전술 등이 담겨있다.

특히 2024년 8월 15일 촬영했다고 날짜가 명시된 가족사진의 하단부에 ‘개죽이’가 합성되어 눈길을 끈다.

‘개죽이’는 2002년 한국 인터넷 커뮤니터 디시인사이드에서 시작되어 크게 인기를 끌었던 개 합성사진이다.

처음 사진을 찍은 컴퓨터 그래픽 아티스트가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으면서 ‘개죽이’는 모든 인터넷 게시물에 등장하며 귀여움을 발산했고, 2022년 디시인사이드는 개죽이 공식 NFT(대체 불가능 토큰)을 발행했다.

개가 대나무에 매달려 있는 사진으로 처음 선보여 ‘개죽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이후 수많은 인터넷 게시물에 합성되어 인기를 누렸다.

사망 북한군 장교는 개죽이가 담긴 가족사진과 함께 ‘94여단의 전투 경험과 교훈’이란 제목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경험을 체계적으로 진술했다.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마스코트로 큰 사랑을 받았던 개죽이의 첫 사진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마스코트로 큰 사랑을 받았던 개죽이의 첫 사진

이 내용에 따르면 “이틀간의 작전 동안 전투원들은 적의 포격과 벌 떼처럼 공격하는 자살 드론에 직면했지만…자기 희생을 보여주며 호랑이처럼 전진하여 현대 무기를 갖춘 적을 후퇴시키고 플레호보 지역을 해방했다”고 되어 있다.

또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에 따른 전투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2~3명으로 구성된 소규모 부대로 나누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크라이나군에 붙잡힐 경우 포로가 되기보다는 수류탄으로 자살을 감행하고, 목숨을 잃을지라도 무조건 전진하는 북한군의 전술이 잘 요약되어 있다.

이런 북한군의 전술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 포로를 생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대규모 파병 4개월 동안 단 2명의 포로를 확보했다.

현재 북한군은 약 1만 2000명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한 가운데 이 가운데 500여명은 장교급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24일 북한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상당한 손실을 입었지만, 러시아에 더 많은 군대를 파견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드론 공격 위주의 현대전에 대한 경험 부족, 전투력보다 정신력에 비중을 두는 전술 등으로 북한군의 사상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뉴욕 타임스는 비공개 정보를 인용해 북한군 신규 파병이 앞으로 두 달 안에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사진
    #가족사진
    #우크라이나
    #사망
    #인터넷
    #한국
    #개죽이
    #북한
    #러시아
    #파병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젤렌스키, 발트3국 EU전력망 편입 '환영'…"러 의존도 낮춰야"
    아시아경제
    0
  • 젤렌스키, 발트3국 EU전력망 편입 '환영'…"러 의존도 낮춰야"
  • 2
  • [유럽개장]장 초반 보합세 출발…英 0.06↓
    아시아경제
    0
  • [유럽개장]장 초반 보합세 출발…英 0.06↓
  • 3
  • "돈 많으신 분 환영합니다"…이민자 천국 '이 나라' 정부까지 나선 까닭
    아시아경제
    0
  • "돈 많으신 분 환영합니다"…이민자 천국 '이 나라' 정부까지 나선 까닭
  • 4
  • "살아있는 채로 목격, 최초일듯"…'악마의 심해어' 대낮 스페인서 포착
    아시아경제
    0
  • "살아있는 채로 목격, 최초일듯"…'악마의 심해어' 대낮 스페인서 포착
  • 5
  • "망자를 돈벌이에 이용"…구준엽 아내 전 시모·남편 SNS 계정 결국
    아시아경제
    0
  • "망자를 돈벌이에 이용"…구준엽 아내 전 시모·남편 SNS 계정 결국
  • 6
  • "이번 주 출근하지 마"…美 CFPB도 폐지 수순
    아시아경제
    0
  • "이번 주 출근하지 마"…美 CFPB도 폐지 수순
  • 7
  • 트럼프 “다음 구조조정 표적은 교육부·국방부”
    서울신문
    0
  • 트럼프 “다음 구조조정 표적은 교육부·국방부”
  • 8
  • 생수 팔아 번 8조원으로 대학 짓겠다…中 갑부들 유행 부럽네
    아시아경제
    0
  • 생수 팔아 번 8조원으로 대학 짓겠다…中 갑부들 유행 부럽네
  • 9
  • “레즈비언 선수가 경기 중 사타구니 만졌다” 의혹에 女축구 ‘발칵’…해명 보니
    서울신문
    0
  • “레즈비언 선수가 경기 중 사타구니 만졌다” 의혹에 女축구 ‘발칵’…해명 보니
  • 10
  • "폐품더미서 3800만원짜리 득템"…해리포터 초판본 경매로 팔려
    아시아경제
    0
  • "폐품더미서 3800만원짜리 득템"…해리포터 초판본 경매로 팔려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