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미국의 가자지구 소유·관리·개발 및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방안은 그간 미국의 중동 정책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의 팔레스타인 문제 해법과도 상반된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 대통령 특유의 협상 전략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팔레스타인은 물론 아랍 국가들의 반발을 사 중동 지역 긴장을 한층 높일 수 있다고 우려한다.
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제3국으로 이주시키고 미국이 가자지구의 소유권을 갖는다는 구상은 이스라엘 극우 진영의 숙원을 이뤄 주는 것으로 간주될 여지가 크다. 예부터 가자지구는 이스라엘 극우세력에게 성서에서 차지하라고 기록된 ‘약속의 땅’으로 통한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를 지지하는 이스라엘 극우 진영은 가자지구 전쟁 때부터 팔레스타인 주민을 내쫓고 재점령할 것을 주장했다. 이른바 시오니즘이다.
조 바이든 전임 미 행정부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점령을 강하게 반대했지만 주변 아랍국은 이스라엘의 욕심을 계속 경계해왔다. 가자 주민들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제1차 중동전쟁 뒤로 75만명에 달하는 팔레스타인인이 고향에서 쫓겨나 난민으로 전락한 아픈 과거가 언제든 재현될 수 있다는 공포에 시달려 왔다. 하마스 역시 통제하에 있던 주민들이 중동 각지로 산산이 나눠지면 조직이 와해될 수 있기에 이러한 시도를 극력으로 막아설 전망이다.
이러한 반응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통치하는 미국에 대한 신뢰 약화가 강하게 반영돼 있다.
과거 미국 행정부는 1993년 오슬로 협정을 통해 ‘두 국가 해법’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존을 위한 보편적 접근법으로 굳혀 왔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합의를 통해 서로 주권을 지닌 독립국임을 인정하고 평화롭게 존재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이스라엘 편을 들고 이권까지 챙기려는 듯한 모습을 두고 ‘미국의 소프트파워 훼손’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는 비판이 나온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