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TV의 파상공세에 1990년대 일본 전자제품의 대명사였던 파나소닉이 TV사업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량생산을 통한 원가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기업들은 현재 일본 TV시장의 과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경제신문은 구스미 유키 파나소닉홀딩스 사장이 전날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TV와 산업용 기기 등 채산성이 좋지 않은 4개 사업을 지목해 수익이 적고 성장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며 철수·축소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5일 전했다. 구스미 사장은 TV 부문과 관련해 “현재 매각에 응하려는 기업은 없지만 매각을 각오하고 있다”며 “다양한 수단을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파나소닉은 전신인 마쓰시타전기 시절인 1952년 TV를 처음 판매했다. 1960년에는 컬러 TV를 선보여 일본 내 TV 보급에 기여했다. 2000년대 이후 패널 공장에 대규모 투자를 했으나 중국과 대만 제품 등에 밀리면서 부진을 겪었다.
실제 일본 시장조사업체 BNC 집계(판매대수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평면 TV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50.8%에 달한다. 브랜드별로는 2018년 중국 기업 하이센스가 일본 도시바의 TV브랜드를 인수해 출범한 레그자가 25.4%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하이센스가 15.7%로 3위였고, 중국 TCL이 9.7%로 4위였다.
반면 과거 TV시장을 주도했던 일본 소니와 파나소닉은 각각 8.8%, 7.4%로 밀려났다. 2000년대 들어 일본 주요 기업들은 경영악화로 속속 TV 사업을 접었다. 21.1%로 점유율 2위를 차지한 샤프 역시 2016년 대만 홍하이 정밀공업(폭스콘)에 사업을 매각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