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미·일 정상회담을 위해 6일 출국했다. 이시바 총리는 오는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경제와 안보 분야 협력을 확인하고, 중국 견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할 방침이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와 방위비 인상 압박이 예상되는 만큼 일본이 2019~2023년 5년 연속 대미 투자 1위 국가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등을 제안할 계획이다.
이시바 총리는 출국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신뢰 관계 확립에 노력할 것"이라며 "경제와 안전보장 문제에서 미·일 양국이 협력해 평화를 위해 힘을 합칠 것을 확인하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출국에 앞서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 등을 만나 조언을 들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부터 관계부처에서 대응책을 협의해 왔으며 트럼프 대통령과 예상 문답도 준비했다.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미·일 정상회담 이후 발표할 예정인 공동성명의 3대 핵심 주제는 경제, 안보, 중국 대응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양국은 공동성명에 "미·일 관계의 황금시대를 구축한다"고 명기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실현을 위해 동맹을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린다는 자세도 강조할 예정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자유롭고 공정한 경제 질서에 기반한 무역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양국이 투자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간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와 첨단기술 분야 협력 방침도 포함한다.
안보에서는 미·일 동맹 억지력과 대처력을 더욱 높인다는 내용을 명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핵무기를 포함한 전력으로 일본을 지키는 확장억제 강화와 미국의 동아시아 정세 관여, 미군과 자위대 간 지휘·통제 연계 향상, 방위 장비 기술 협력 추진 등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는 이시바 총리가 이번 정상회담에서 미국산 무기 구입을 확대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국 대응에 관해서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서의 일방적 현상 변경 움직임에 반대하고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 등을 담을 예정이다.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가 미·일 안보 조약 적용 대상이라는 점도 넣을 수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양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염두에 두고 우주·사이버 분야 협력을 공동성명에 넣는 방안도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시바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외국 정상과 개인적 신뢰를 중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고려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영어 통역을 맡았던 다카오 스나오 외무성 일미지위협정실장에게 통역을 맡긴다. 다카오 실장은 작년 1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이시바 총리와 통화를 통역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전 총리에 대해 "매우 가까운 친구였다"고 언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작년 1~11월 기준 미국의 수입 1~3위 국가인 멕시코, 중국, 캐나다에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던 만큼 수입 5위인 일본에도 관세 카드를 들이밀며 방위비 증액 등 요구를 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소프트뱅크그룹과 챗GPT 개발사 오픈AI, 오라클 합작사 스타게이트,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등도 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https://cdn.trend.rankify.best/dctrend/front/images/ico_nocomment.sv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