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심해 괴물 ‘악마의 물고기’ 대낮 출몰…희귀 목격 께름칙 (영상) [포착]
    권윤희 기자
    입력 2025.02.09 18:05
    4
  • 댓글 온도차 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답글0
  • 진실을찾아 홀로헤엄쳐왔지만 끝내 다다르지 못했구나. 깨어있던 그에게 위로를
  • 답글0
  • 진심 좆같이 생겼네. 러브크래프트가 저거보고 소설쓴듯
  • 답글0
  • 저게 아구찜 재료임?
  • 답글0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콘드릭 테네리페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콘드릭 테네리페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콘드릭 테네리페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콘드릭 테네리페

예능 프로그램 ‘윤식당’ 촬영지로도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스페인 카나리아제도 테네리페섬 해안에서 환한 대낮에 ‘악마의 물고기’가 출몰해 관심이 집중됐다.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벌린 입 사이로 길고 뾰족한 이빨이 드러나 있는 괴생명체는 머리에 반짝반짝 빛을 내는 촉수도 달려 있었다.

학자들이 목격한 괴생명체는 200~1500m 수심대에 서식하는 초롱아귀목 멜라노케투스과의 험프백 앵글러피쉬(학명 Melanocetus johnsonii), 일명 ‘검은 악마 물고기’, ‘검은 바다 괴물’이었다.

험프백 앵글러피쉬는 1863년 아프리카 마데이라 근처에서 영국 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절반 이상이 수심 1000m 깊이 심해에서 목격됐다.

이런 심해어가 한낮에 얕은 수심에 산 채로 나타난 것은 전례가 거의 없다고 한다. 다만 물고기는 발견 후 몇 시간 만에 폐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심해어가 난데없이 대낮 해변 근처에서 발견된 것에 대해 콘드릭 테네리페 학자들은 “질병, 강한 해류 또는 포식자 때문에 바다 상층으로 유입됐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일각에서는 심해 환경 변화에 따른 것일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콘드릭 테네리페
8일(현지시간) 스페인 매체 마르카 등에 따르면 현지 비정구기구(NGO) ‘콘드릭 테네리페’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달 26일 상어 연구를 위해 바다로 나섰다가 해변과 불과 2㎞ 거리에서 괴물 형상을 한 검은색 생명체를 발견했다. 콘드릭 테네리페

한편 초롱아귀는 머리에 초롱불처럼 스스로 발광하는 안테나 모양의 촉수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 위에 가늘고 길게 튀어나온 촉수는 등지느러미가 변형된 것으로, 끝부분에 공생하는 발광세균이 초롱불처럼 빛을 뿜어낸다. 초롱아귀는 등대처럼 컴컴한 심해를 밝히는 이 발광촉수로 먹이를 유인한다.

발광촉수는 암컷만 갖고 있다. 초롱아귀가 암수 개체의 형태가 완전히 다른 성적이형성(sexual dimorphism) 어류라서다. 몸길이도 암컷은 약 60㎝인 반면, 수컷은 4㎝ 정도에 불과하다. 몸집도 작은 데다 발광촉수도 없는 수컷 초롱아귀는 먹이를 잡아도 스스로 소화하지 못해, 암컷만이 유일한 생존 수단이다.

수컷 초롱아귀는 뛰어난 후각기관을 이용, 냄새로 암컷을 찾은 뒤 암컷 몸에 이빨을 꽂고 매달린다. 그러면 암컷 몸에서 분비된 효소가 수컷의 몸을 녹인다. 이렇게 암컷과 일체화된 수컷은 공유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섭취하며 근근이 목숨을 이어간다. 하지만 수일에서 수주 후면 다른 신체기관은 모두 녹아내리고 생식능력만 남게 된다. 암컷은 죽기 직전의 수컷이 뿜어낸 생식 호르몬으로 번식한다.

또 초롱아귀에 속하는 멜라노케투스는 ‘검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멜라노스’(melamos)와 ‘바다 괴물’을 의미하는 ‘케투스(cetus)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2021년 미국 캘리포니아 라구나비치의 한 해변에 떠밀려온 초롱아귀 사체. 크리스탈코브주립공원 제공
2021년 미국 캘리포니아 라구나비치의 한 해변에 떠밀려온 초롱아귀 사체. 크리스탈코브주립공원 제공

    #시간
    #스페인
    #해변
    #현지
    #발견
    #생명체
    #거리
    #리페
    #상어
    #괴물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트럼프 '관세 전쟁'에 피난처 찾는 아시아 투자금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관세 전쟁'에 피난처 찾는 아시아 투자금
  • 2
  • “딥시크 뛰어넘는 모델 출시”… ‘AI 경쟁’ 자신감 보인 머스크
    서울신문
    0
  • “딥시크 뛰어넘는 모델 출시”… ‘AI 경쟁’ 자신감 보인 머스크
  • 3
  • 트럼프, 남아공 백인 토지 몰수 "용납 안해"…전면 지원 중단 재확인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남아공 백인 토지 몰수 "용납 안해"…전면 지원 중단 재확인
  • 4
  • 트럼프 '가자구상'에…침묵깨는 유럽동맹들 "허니문 끝"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가자구상'에…침묵깨는 유럽동맹들 "허니문 끝"
  • 5
  • '행동주의' 엘리엇, 英 석유공룡 BP 지분 매입
    아시아경제
    0
  • '행동주의' 엘리엇, 英 석유공룡 BP 지분 매입
  • 6
  • 이시바 ‘아부 외교’… 美에 선물 주고 관세 압박 피했다
    서울신문
    0
  • 이시바 ‘아부 외교’… 美에 선물 주고 관세 압박 피했다
  • 7
  • '알파고 아버지' 허사비스 "딥시크 과학적 진보 없어"
    아시아경제
    0
  • '알파고 아버지' 허사비스 "딥시크 과학적 진보 없어"
  • 8
  • “가정 있는 남잔데…” 치매 걸린 전남편 매주 만나는 여배우의 ‘속내’
    서울신문
    0
  • “가정 있는 남잔데…” 치매 걸린 전남편 매주 만나는 여배우의 ‘속내’
  • 9
  • "'美대중관세 직격탄' 쉬인, 공급망 일부 中→베트남 이전 정황"
    아시아경제
    0
  • "'美대중관세 직격탄' 쉬인, 공급망 일부 中→베트남 이전 정황"
  • 10
  • 트럼프 "상호관세 11일이나 12일 발표…철강·알루미늄엔 25% 관세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상호관세 11일이나 12일 발표…철강·알루미늄엔 25% 관세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