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딥시크, 당첨 번호 알려줬다" SNS 확산…中 복권사업자 화들짝
    입력 2025.02.13 14:46
    0
EPA연합뉴스

[ 아시아경제 ]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초고성능 AI를 공개하며 전 세계에 광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최근 온라인상에서는 "딥시크를 이용해 로또에 당첨됐다"는 글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로또 사업자 측은 "번호 예측은 불가능하다"며 진화에 나섰다.

13일 베이징청년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안후이성 우후시의 리모씨는 지난 11일 오전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에 "딥시크가 추천한 숫자대로 로또를 구매했더니 당첨됐다"는 글을 게재했다. 그는 5세트의 추천 숫자를 이용해 총 10위안(약 2000원)을 베팅한 결과, 이 가운데 하나가 상금 5위안(약 1000원)짜리에 당첨됐다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리씨는 5위안의 손해를 봤지만 "AI가 복권 당첨을 예측한다"는 소문은 중국 현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했다. 한때 '딥시크로 복권에 당첨됐다'가 웨이보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리씨에 이어 오픈AI의 챗GPT로 복권에 당첨됐다는 글까지 등장했다.

중국 온라인상의 로또 번호 예측 글들. 중국 매일경제신문

이에 로또 사업자 측은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 공식 계정을 통해 "AI가 아무리 강력하더라도 당첨 번호는 예측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사업자 측은 "번호 추첨은 물리적 방식"이라며 "각 공의 움직임은 공기 흐름과 미세한 진동 등에 영향을 받아 예측 불가능하고 통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딥시크는 올해 1월 출시한 추론형 AI 모델 '딥시크 R1'이 오픈AI의 '챗GPT'와 유사한 성능을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한 것으로 알려지며 전 세계에 파장을 일으켰다. 오픈AI의 챗GPT가 등장한 지 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생성형 AI 모델 개발은 주로 미국 기업이 주도해왔으나 딥시크는 저비용·고성능 AI를 구현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AI 칩은 지금까지 본 가장 놀랍고 인상적인 혁신 중 하나"라고 입을 모았다. 딥시크는 한동안 부진했던 중국 기술주의 흐름을 바꿔놓는 등 연일 화제를 몰고 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복권
    #예측
    #확산
    #중국
    #번호
    #시크
    #당첨
    #GPT
    #사업자
    #오픈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2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트럼프, 젤렌스키에 "독재자" 비난…美공화당 혼란·외신 비판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젤렌스키에 "독재자" 비난…美공화당 혼란·외신 비판
  • 2
  • "손톱 언제 깎았더라…" 빨리 자란다면 남들보다 천천히 늙는단 증거
    아시아경제
    0
  • "손톱 언제 깎았더라…" 빨리 자란다면 남들보다 천천히 늙는단 증거
  • 3
  • [뉴욕증시]관세 우려·금리인하 신중론에도 상승…S&P, 이틀째 최고치
    아시아경제
    0
  • [뉴욕증시]관세 우려·금리인하 신중론에도 상승…S&P, 이틀째 최고치
  • 4
  • '엽문3' 배우 납치 사건에 '부글부글'…中 당국 단죄 나선다
    아시아경제
    0
  • '엽문3' 배우 납치 사건에 '부글부글'…中 당국 단죄 나선다
  • 5
  • 마크롱·스타머 내주 백악관行…"우크라에 유럽 평화유지군 파견 제안"
    아시아경제
    0
  • 마크롱·스타머 내주 백악관行…"우크라에 유럽 평화유지군 파견 제안"
  • 6
  • "건강·노화는 유전일까, 노력일까"…연구결과 나왔다
    아시아경제
    0
  • "건강·노화는 유전일까, 노력일까"…연구결과 나왔다
  • 7
  • 스티븐스 전 美 대사 "韓, 미·러 종전협상에 '서울패싱' 불안 클 것"
    아시아경제
    0
  • 스티븐스 전 美 대사 "韓, 미·러 종전협상에 '서울패싱' 불안 클 것"
  • 8
  • 미러 밀착에 놀란 덴마크, 국방비 10조원 추가 편성
    서울신문
    0
  • 미러 밀착에 놀란 덴마크, 국방비 10조원 추가 편성
  • 9
  • 독일 뮌헨 묘지의 수수께끼…나무십자가에 왜 QR코드가
    서울신문
    0
  • 독일 뮌헨 묘지의 수수께끼…나무십자가에 왜 QR코드가
  • 10
  • MS도 차세대 ‘양자 컴퓨팅 칩’ 공개… 현실로 다가오는 ‘꿈의 양자컴 시대’
    서울신문
    0
  • MS도 차세대 ‘양자 컴퓨팅 칩’ 공개… 현실로 다가오는 ‘꿈의 양자컴 시대’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