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사람 대신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높은 투자수익률을 낸 호주의 헤지펀드가 화제다.
연합뉴스는 14일 블룸버그통신을 인용해 아르미나 로젠버그(37)와 토머스 라이스(44)가 호주 시드니에 설립한 스타트업 헤지펀드 '미노타우르 캐피털'이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간 전 세계 상장주식에 투자해 13.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같은 기간 MSCI 전세계지수(MSCI ACWI)의 수익률 6.7%를 2배 이상 뛰어넘은 성과다.
전 세계 상장 주식에 투자하는 ‘미노타우르 글로벌 오퍼튜너티스 펀드’(MGOF·Minotaur Global Opportunities Fund)는 운용 수수료가 1.5%, 수익에 대한 성과 수수료 20%를 부과한다. 운용 규모는 올해 말 약 5000만 호주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노타우르 캐피털엔 애널리스트가 없다. 대신 AI 모델이 기존 애널리스트 업무를 대신한다. 미노타우르 캐피털의 공동창립자인 아르미나 로젠버그는 “애널리스트를 고용해 지급하는 급여와 비교하면 AI 프로그램에 들어간 비용은 절반 정도”라고 말했다.
이 신생 펀드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매일 약 5000개의 뉴스 기사를 분석해 향후 3년 내 2배, 혹은 10년간 10배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특정 주식을 골라 약 2000단어 분량의 보고서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한편 AI 기술이 점점 더 정교해지면서 미노타우르를 비롯해 여러 헤지펀드가 AI를 활용해 자산을 운용하는 방법을 실험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도 높은 수익률을 낼지는 아직 미지수다.
로젠버그는 “사람들이 처리하기엔 정보가 너무 많거나, 전략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기업들엔 AI 기반 투자가 변곡점이 될 수 있다”며 “이젠 AI 기반 투자도 고려할 가치가 있는지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