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성으로 유명한 효고현 히메지성이 많은 관광객이 몰리자 시민이 아닐 경우 입장료를 기존 가격에서 150% 인상해 받겠다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히메지시는 현재 1000엔(약 9500원)인 히메지성 입장료를 내년 3월 1일부터 히메지 시민이 아닌 경우 2500엔(약 2만 4000원)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다만 히메지 시민 대상 입장료는 1000엔으로 유지하고, 18세 미만은 시민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입장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 지금은 초중고생의 경우 300엔(약 2800원)을 내야 한다.
히메지시는 관련 조례 개정안을 향후 시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히메지시 당국은 입장료 인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디지털 전시물을 도입하고 성을 관리할 방침이다.
앞서 히메지시는 지난해 6월 외국인을 상대로만 입장료를 올리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시의회의 반대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
당시 기요모토 히데야스 히메지시 시장은 “(히메지성)은 7달러(약 9700원)면 들어갈 수 있는데 가격을 더 올릴까 생각하고 있다. 외국인에게는 30달러(약 4만원)를 받고, 일본인은 5달러(약 6900원) 정도로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히메지시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해 히메지성의 입장객은 약 148만명이었다. 이 중 외국인 관광객이 45만여명으로, 약 30%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해 현지에서는 갑론을박이 일기도 했다. 일본 최대 포털인 야후 재팬에서는 83%가 넘는 다수가 이중가격 설정에 찬성했지만, 일각에서는 관광객 감소 등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실제로 최근 일본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급증으로 외국인과 자국인 요금을 차등화하는 이중가격제가 늘고 있다. 히메지시에 이어 교토시도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입장료 조정을 검토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일본 내에서 또 다른 유명한 성으로 꼽히는 오사카성과 나가노현 마쓰모토성 입장료도 오는 4월부터 인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여행업계와 일본정부관광국(JNTO)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여행객은 전년 대비 26.7% 늘어난 882만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가장 많았다.
지난해에는 특히 엔저 효과에 따른 여행경비 절감과 항공 노선 확대, 관련 여행 상품 출시가 쏟아지면서 관광객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비행시간이 1~2시간 이내로 짧은 가까운 해외 여행지로 당일치기, 주말을 이용한 단기간 여행과 재방문 여행 수요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