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윤동주 서거 80주기인데…서경덕 "중국, 국적 왜곡 여전해"
    입력 2025.02.16 16:33
    0

[ 아시아경제 ] 일제강점기 저항시인 윤동주(1917~1945)의 서거 80주기를 맞은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윤동주 시인을 자국인이라고 소개하는 중국 측을 비판했다.

윤동주 시인. 연합뉴스

16일 서 교수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아직 중국은 윤동주에 관한 왜곡을 멈추지 않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는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으로 왜곡하고 있다"며 "지난 5년간 국적을 '한국'으로 시정하기 위해 바이두 측에 항의 메일을 꾸준히 보냈지만, 지금까지 외면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가 바이두 측에 꾸준히 항의한 결과 지난해 11월 윤동주 시인의 소개 페이지에 '조선족'으로 표기한 것을 삭제하도록 했지만, 아직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으로 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용정 마을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 입구에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힌 대형 표지석이 남아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이어 "또한 2년 전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 '글로벌타임스'는 윤동주를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독립 투쟁에 참여한 '조선족 애국 시인'이라고 소개했다"면서 "아울러 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마을의 윤동주 생가 입구에는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힌 대형 표지석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러다 보니 생가에서 만난 많은 중국 관광객들은 윤동주를 중국 사람으로 여기고 있었다"라고 꼬집었다.

서 교수는 "이제는 한국 정부가 윤동주 왜곡에 관련하여 중국 당국에 강하게 항의해야만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 교토의 도시샤대는 이날 교내 예배당에서 학위 수여식을 열고 윤동주 시인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1875년 설립된 이 대학이 고인을 상대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타가키 류타 도시샤대 사회학부 교수는 "재학 중 체포돼 숨진 윤 시인을 대학 측이 지켜주지 못한 데 대한 미안함이 담긴 특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연세대 전신)를 졸업한 뒤 도쿄에 있는 릿쿄대에 진학했다가 1942년 10월 도시샤대 문학부 문화과 영어영문학 전공으로 편입했다. 1943년 조선 독립을 논의하는 유학생 단체 활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됐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돼있다가 광복을 6개월 앞둔 1945년 2월 16일 2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윤동주가 도시샤대로 옮기기 전 다닌 릿쿄대에서도 오는 23일 기념 강연회와 시 낭독회 등이 열릴 예정이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적
    #시인
    #동주
    #중국
    #조선족
    #서거
    #교수
    #왜곡
    #도시
    #서경덕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총선 앞두고 1인 최대 86만원 지원금…총 2조원 뿌리는 이 나라
    아시아경제
    0
  • 총선 앞두고 1인 최대 86만원 지원금…총 2조원 뿌리는 이 나라
  • 2
  • 댄 아이브스 "테슬라, 가장 과소평가된 AI주" 주장하는 3가지 이유
    아시아경제
    0
  • 댄 아이브스 "테슬라, 가장 과소평가된 AI주" 주장하는 3가지 이유
  • 3
  • “왕대륙, 당장 다음 달 군입대”…병역 기피 ‘대만 첫사랑’의 추락
    서울En
    0
  • “왕대륙, 당장 다음 달 군입대”…병역 기피 ‘대만 첫사랑’의 추락
  • 4
  • “내 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코 성형’ 고백한 女 과거 사연 보니
    서울신문
    0
  • “내 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코 성형’ 고백한 女 과거 사연 보니
  • 5
  • “다리 불편한 사람도 거뜬히 올라”…1만원 내고 빌린 ‘이것’의 놀라운 효과
    서울신문
    0
  • “다리 불편한 사람도 거뜬히 올라”…1만원 내고 빌린 ‘이것’의 놀라운 효과
  • 6
  • 트럼프 “젤렌스키 지지율 4%, 우크라 사실상 계엄령… 미군 배치 안 해”(종합)
    서울신문
    0
  • 트럼프 “젤렌스키 지지율 4%, 우크라 사실상 계엄령… 미군 배치 안 해”(종합)
  • 7
  • 日자민당, 이시바 ‘전후 80년 담화’ 놓고 신경전
    서울신문
    0
  • 日자민당, 이시바 ‘전후 80년 담화’ 놓고 신경전
  • 8
  • 트럼프 "2월 내 푸틴 만날 듯"…젤렌스키엔 "지지율 4% 대통령" 비판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2월 내 푸틴 만날 듯"…젤렌스키엔 "지지율 4% 대통령" 비판
  • 9
  • “감히 전 여친이랑 연락해?” 1170㎞ 내달려 ‘썸남’ 집 불 지른 20대 美남성
    서울신문
    0
  • “감히 전 여친이랑 연락해?” 1170㎞ 내달려 ‘썸남’ 집 불 지른 20대 美남성
  • 10
  • 머스크, 하루 새 잘렸나?…백악관이 선 그은 사연
    서울신문
    0
  • 머스크, 하루 새 잘렸나?…백악관이 선 그은 사연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