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독일 완성차 업체들이 저가 공세로 무장한 중국 업체들에 밀려 중국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르셰의 경우 지난해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 독일 자동차 업체들은 고급 주행 성능과 정밀한 엔지니어링을 무기로 높은 판매고를 올렸던 옛 모습과는 달리 최근엔 중국 경쟁사들의 인기에 맥을 못 추고 있다.
대표적인 브랜드가 바로 포르셰다. 포르셰는 최근 지난해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8%가량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이외 시장에서 판매량이 늘었음에도 해당 여파로 글로벌 판매량이 3%나 하락했다. 판매량 감소의 배경에는 중국 제조업체들의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AI) 기술 탑재 전기차 제조 기술에 대한 글로벌 업체들의 과소평가가 한몫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예컨대 포르셰의 첫 순수 전기 스포츠카인 타이칸의 경우 샤오미 SU7에 경쟁력 면에서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한다. 타이칸을 모방했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비슷한 외양을 가진 SU7은 타이칸과 비슷한 수준의 출력과 제동력을 갖췄으나 중국 현지에서 타이칸 절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주차 어시스트 기능이나 운전자의 선곡 취향을 탐색하는 등 통합 AI 기술 등을 포함해 차별성을 확보하기도 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전기 자동차 기술 발전은 브랜드 가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데 익숙한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중국 소비자들이 중국 업체의 고성능 차량 생산 능력을 차츰 인정하면서 '프리미엄 자동차'를 구성하는 요건을 '전기·스마트·저렴'이라는 개념으로 바꾸고 있다는 의미다.
NYT는 포르셰가 유럽연합(EU) 등 미국의 교역 파트너를 상대로 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역시 실적 악화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한다고 짚었다. 포르셰는 특히 메르세데스-벤츠나 BMW 등과는 달리 독일에서 제조한 차량만 미국에 공급하고 있어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