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태평양 지역 정책에 집중하고 북한과 직접 대화를 시도하면 한국 내에서 '서울 패싱'에대한 우려가 커질 것이라고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 대사가 전망했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19일(현지시간)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 석좌가 진행한 대담에서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미국·러시아의 종전 협상과 관련한 한국의 시각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뿐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트럼프가 대서양(유럽)과의 관계를 다소 경시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것"이라며 "그(트럼프 대통령)는 태평양에 집중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서울 패싱에 대한 불안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와 마찬가지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고, 이 과정에서 전날 우크라이나전 종전을 위한 미·러 고위급 협상과 같이 주요 당사자인 한국이 배제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서울 패싱 여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며 "지난 수십년간 미국에서 동맹에 대한 초당적 지지가 깊어지고 있는데 이런 제도적 틀이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방식이 초래할) 비전통적 스트레스와 긴장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조치, 조 바이든 전 행정부에서 시행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 혜택 축소·폐기 가능성이 한국의 주요 대미 현안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스티븐슨 전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들 법안과 기타 법안에서 제시한 몇 가지 이니셔티브를 이행하는 데 있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