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베센트 美재무 "21일 中과 첫 통화…장기채 발행 확대 요원"
    입력 2025.02.21 14:38
    0

[ 아시아경제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중국 측 상대방과 첫 전화 통화를 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내일 아침 중국 측과 첫 통화를 하게 된다. 매우 생산적인 논의를 기대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EPA연합뉴스

베센트 장관은 통화 상대방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 전임자인 재닛 옐런 전 재무부 장관은 지난달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와 화상통화를 했다.

베센트 장관은 첫 메시지로 "우리는 함께 일하고 싶다"고 전할 것이며, 중국에서 펜타닐 전구체 성분이 유입되는 것은 정말로 막고 싶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펜타닐 유입을 이유로 이달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번 통화에 대해 베센트 장관은 "단지 소개 대화일 뿐"이라면서도 "우리가 함께 가기 위해 중국은 소비 중심으로 경제 균형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중국은 기업계를 우선시하면서 소비를 억압하고 있다"고 말했다.

헤지펀드 투자자 시절 외환 거래를 전문으로 했던 베센트 장관은 중국의 외환 정책에 대해 "위안화는 가치를 평가하기 매우 어려운 통화"라고 말했다. 중국에 투자한 외국 투자자들이 몇 년 뒤 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위안화의 정확한 가치를 산정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했다.

또 "미국은 여전히 강달러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다른 국가들이 달러 대비 자국 통화를 약화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 묻는 말엔 "나는 그의 협상력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국채 발행에서 장기채 비중을 늘리는 것은 현재 높은 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할 때 다소 요원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멀었다. 시장이 무엇을 원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경로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베센트 장관은 취임 전 옐런 전 장관이 단기채 비중을 늘렸다고 거듭 비판했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취임 이후 옐런 전 장관의 채권 발행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질문에 "이전 행정부는 일부 국채 만기를 단축했으나 우리는 더는 줄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여전히 일종의 바이든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있다"며 "장기 부채 판매를 늘리는 것이 궁극적 목표지만 지금 당장은 신호를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이 차입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나 국부펀드 설립 자금 조달을 위해 금 보유량을 재평가할 수 있다는 최근 시장의 추측을 일축했다. 그는 "포트 녹스(미 재무부 금 보유고)에 방문할 계획은 없지만 모든 금이 그대로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베센트 장관은 다음 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계획이다. 그는 중국 측으로부터 허 총리도 참석하지 않을 것이란 소식을 들었다고 했다. 또 4월로 예정된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봄 회의에서 전 세계 관계자들을 만날 것이라고 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재무
    #확대
    #장관
    #센트
    #요원
    #우리
    #중국
    #통화
    #발행
    #장기채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북한, 올해도 자금세탁·테러자금 '고위험국' 지정
    아시아경제
    0
  • 북한, 올해도 자금세탁·테러자금 '고위험국' 지정
  • 2
  • 중국 ‘GDP 1조 위안 도시’ 27곳으로 확대…경제 성장 가속화
    아시아경제
    0
  • 중국 ‘GDP 1조 위안 도시’ 27곳으로 확대…경제 성장 가속화
  • 3
  • ‘북한 요양’ 러시아 부상병 “치료 못 받아…식사는 맛없고 고기 부족” [핫이슈]
    나우뉴스
    0
  • ‘북한 요양’ 러시아 부상병 “치료 못 받아…식사는 맛없고 고기 부족” [핫이슈]
  • 4
  • 복권번호도 알려준다는 中 딥시크…해외선 사용금지[AK라디오]
    아시아경제
    0
  • 복권번호도 알려준다는 中 딥시크…해외선 사용금지[AK라디오]
  • 5
  • “젤렌스키 대통령, 결국 ‘항복’…몇 시간 내 ‘광물 협정’ 서명할 것”
    나우뉴스
    2
  • “젤렌스키 대통령, 결국 ‘항복’…몇 시간 내 ‘광물 협정’ 서명할 것”
  • 6
  • 北서 요양한 러 부상병 "전반적으로 깨끗…밥은 맛없고 술 구하기 어려워"
    아시아경제
    0
  • 北서 요양한 러 부상병 "전반적으로 깨끗…밥은 맛없고 술 구하기 어려워"
  • 7
  • 취재 제한 당한 AP통신, 백악관 상대로 소송
    아시아경제
    0
  • 취재 제한 당한 AP통신, 백악관 상대로 소송
  • 8
  • "전쟁으로 외화벌이 했는데"…우크라 종전협상에 용병들 일자리 잃을까 전전긍긍
    아시아경제
    0
  • "전쟁으로 외화벌이 했는데"…우크라 종전협상에 용병들 일자리 잃을까 전전긍긍
  • 9
  • "많은 사람이 감탄하지만 상당히 위험"…"목숨 잃을 수도" 경고에도 인증샷
    아시아경제
    0
  • "많은 사람이 감탄하지만 상당히 위험"…"목숨 잃을 수도" 경고에도 인증샷
  • 10
  • 트럼프 측근들의 '나치식 경례'…머스크 이어 과거 책사도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측근들의 '나치식 경례'…머스크 이어 과거 책사도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