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부터 예정대로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3일(현지시간) 밝힌 직후 캐나다 정부가 보복 관세 패키지를 준비 중이라고 응수했다. 지난 2월 예고한 대로 총 1550억캐나다달러(155조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 제품에 관세를 물릴 방침이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부 장관은 이날 트럼프 관세 강행 발언 이후 기자회견에서 "멕시코나 캐나다에 남은 선택지는 없다"며 "모두 결정됐다. 내일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정책에 대해 "변함이 없다"며 3월 4일 관세 발효 계획을 재확인했다.
쥐르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지난달 초 1·2차에 걸친 대미 관세 부과 계획을 공표했다. 1차로는 오렌지 주스와 땅콩버터, 와인, 커피 등을 포함한 300억캐나다달러(30조원) 규모 미국산 제품에, 2차로는 자동차와 트럭, 철강, 알루미늄을 포함한 1250억캐나다달러(125조원) 규모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졸리 장관은 "이것은 실존적 위협으로 수천개의 캐나다 일자리가 걸려 있다"면서 "미국이 무역 전쟁을 시작한다면 우리는 준비는 돼 있다. 다만 이게 우리가 원하거나 바라던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장기적인 관세 전쟁이 2년 동안 캐나다 경제 생산량을 약 3% 감소시키고, 이 기간 경제 성장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미국 내 캐나다 제품 수요가 위축되면 수출업체들은 생산과 고용에 타격을 입는다. 반대로 캐나다 내에서는 미국산 제품 가격 상승으로 가계와 기업 소비가 줄어들 전망이다.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51번째 주 편입' 위협 발언에 대해서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그는 이날 영국 국왕인 찰스 3세를 만나 이런 위협에 대해 논의하며 독립과 자주적 결정을 강조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멕시코도 마찬가지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지난 3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어떤 결정을 내리든 멕시코는 준비가 돼 있다"며 4일 추가 설명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계획을 다시 공표하기 이전에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가 펜타닐 등 합성 마약의 유입과 미국으로 유입되는 이민자들의 이동을 막기 위한 충분한 조처를 하지 않고 있다며 단속을 강화하지 않을 경우 광범위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