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포착] 푸틴, 군복 입고 총알 빗발치는 전쟁터 직접 방문…“우크라 포로는 테러범”
    송현서 기자
    입력 2025.03.13 08:50
    0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쿠르스크주(州)를 직접 방문했다.

타스 통신은 12일(현지 시간) “쿠르스크의 러시아군 전투 사령부를 방문한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군에 점령된 쿠르스크 영토를 완전히 해방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크렘린궁과 러시아 국영방송이 공개한 영상에는 푸틴 대통령이 녹색 군복을 입고 책상에 지도를 펼쳐놓은 채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의 보고를 받는 모습이 담겼다.

푸틴 대통령은 “쿠르스크에서 적을 패배시키는 임무가 완수되고 최대한 빨리, 완벽하게 이 지역 영토가 해방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이 지역 영토를 완전히 탈환한 뒤 국경을 따라 보안 구역을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쿠르스크에서 민간인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고 러시아군과 싸운 사람들은 테러리스트로 간주한다”면서 쿠르스크에서 잡힌 우크라이나군 포로를 테러리스트로 취급할 것이며, 이미 이들에 대한 범죄 수사가 시작됐다고 경고했다.

게라시모프 총참모장은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전선에서 병력과 용병 6만 7000명 이상을 잃었으며, 생포한 우크라이나 병사가 430명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군은 쿠르스크에서 이미 1100㎢ 이상의 영토를 탈환했다. 이는 적이 점령했던 지역의 86% 이상”이라면서 “특히 지난 닷새간 마을 24개와 영토 259㎢를 되찾는 등 최근 반격이 매우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게라시모프 총참모장은 앞서 러시아 특수부대가 가스관 내부에서 약 15㎞ 이동해 우크라이나군 내부로 침투한 작전을 언급하며 “이 작전이 우크라이나군의 방어망을 무너뜨리며 러시아군의 공세를 도왔다”고 강조했다.

이 작전과 관련해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 측의 가스관 침투 작전을 인정하면서도, 우크라이나군이 ‘적절한 시기’에 러시아군을 탐지했고, 로켓과 드론, 포탄 등으로 대응했다고 밝혔었다.

전장 직접 방문한 푸틴의 이례적 행보, 트럼프 의식?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쟁이 시작된 뒤, 푸틴 대통령이 군복을 입고 직접 전장을 방문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앞서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이 애초 주재할 예정이었던 정부 경제 회의를 일정상 연기한다고 밝혔다. 격전지인 쿠르스크 방문은 예정에 없던 돌발 일정인 셈이다.

푸틴 대통령의 이례적 행보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나 ‘30일 휴전’ 방안에 합의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쿠르스크를 방문함으로써 러시아군이 전선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가 원하는 대로 30일 휴전안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분석한다.

반면 푸틴 대통령이 휴전안에 조건부로 동의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12일 “1월까지만 해도 휴전 가능성을 강하게 부인하던 푸틴이 트럼프 대통령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휴전을 검토하는 조짐이 보인다”고 전했다.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이날 기자들에게 “(미국이 요청한 30일 휴전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30일 휴전안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대러 제재를 강화하겠다며 압박하고 있다.

    #군복
    #우크라이나
    #우크라
    #쿠르스크
    #전쟁터
    #푸틴
    #방문
    #테러
    #대통령
    #러시아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속도위반해 머그샷 찍은 女대생…“미스 아메리카를 가뒀다” 관심 폭발, 왜
    서울신문
    0
  • 속도위반해 머그샷 찍은 女대생…“미스 아메리카를 가뒀다” 관심 폭발, 왜
  • 2
  • 하늘서 뚝 떨어진 ‘미스터리 얼음덩어리’ 정체…“날벼락 맞았다” [포착]
    나우뉴스
    0
  • 하늘서 뚝 떨어진 ‘미스터리 얼음덩어리’ 정체…“날벼락 맞았다” [포착]
  • 3
  • 광물 이어 “원전 내놓으라” 우크라 ‘탈탈’ 터는 트럼프…속내는 [월드뷰]
    서울신문
    0
  • 광물 이어 “원전 내놓으라” 우크라 ‘탈탈’ 터는 트럼프…속내는 [월드뷰]
  • 4
  • 누가 성모마리아를 ‘이 얼굴’로 바꿔놨을까…200년 된 조각상 ‘복원 참사’ [포착]
    나우뉴스
    0
  • 누가 성모마리아를 ‘이 얼굴’로 바꿔놨을까…200년 된 조각상 ‘복원 참사’ [포착]
  • 5
  • (영상) “세상에 없던 무기”…트럼프, ‘1대당 수천억 원’ 차세대 전투기 F-47 공개 [포착]
    나우뉴스
    0
  • (영상) “세상에 없던 무기”…트럼프, ‘1대당 수천억 원’ 차세대 전투기 F-47 공개 [포착]
  • 6
  • “여자가 먼저 허벅지 만져 성관계” 주장했지만… 성폭행 유죄 받은 러 출신 남성
    서울신문
    58
  • “여자가 먼저 허벅지 만져 성관계” 주장했지만… 성폭행 유죄 받은 러 출신 남성
  • 7
  • 美공화 상원의원 방중…미중 정상회담 가능성 이목
    아시아경제
    0
  • 美공화 상원의원 방중…미중 정상회담 가능성 이목
  • 8
  • 대학 경비원으로 일하던 청년…'10년 6수' 끝에 변호사 합격
    아시아경제
    0
  • 대학 경비원으로 일하던 청년…'10년 6수' 끝에 변호사 합격
  • 9
  • [뉴욕증시]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에 '네 마녀의 날' 막판 상승
    아시아경제
    0
  • [뉴욕증시]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에 '네 마녀의 날' 막판 상승
  • 10
  • "한국인이 우글우글, 그 곳이 국장이다"…美도 놀란 서학개미 파워
    아시아경제
    0
  • "한국인이 우글우글, 그 곳이 국장이다"…美도 놀란 서학개미 파워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뉴스
  • 투표
  • 게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