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증시의 단기 변동성이 아닌 경제와 시장의 장기 건전성에 집중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실물 경제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이익을 얻고 미국인에게도 장기적으로 이익이 되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을까"라며 "난 3주간 약간의 (시장) 변동성에 대해서는 우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시장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실물경제와 시장 모두 번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식이 안전하고 훌륭한 투자처인 이유는 장기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라며 "미시 환경을 보기 시작하면 주식은 매우 위험해진다. 그래서 우리는 중장기에 초점을 둔다"고 밝혔다. 이어 "적절한 정책을 시생하면 실질소득 증가, 일자리 창출, 자산 증가를 위한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센트 장관은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 개선과 관련해서는 "아마도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다"며 "시장은 이에 대해 보다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쏟아내면서 최근 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를 감수하더라도 관세 정책을 강행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지난 9일 공개된 직후 월가에서는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가 확산됐다. 이날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관세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확인하면서도, 경기 침체 공포에 휩싸인 시장을 진정시키려는 의도로 읽힌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