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美 연구소 직원, 원자로 설계 韓 유출하려다 적발…민감국가 지정 이어졌나
    입력 2025.03.18 04:07
    0

[ 아시아경제 ]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 직원이 1~2년 전 수출이 금지된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한국으로 유출하려다 적발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미국이 최근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배경을 놓고 해석이 분분한 가운데 이 사건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17일(현지시간)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이 수출통제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소지한 채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다 적발돼 해고됐다. 이 사건은 보고 대상 기간인 2023년 10월부터 2024년 3월 사이에 발생했다.

감사관실은 직원이 한국으로 가져가려던 정보는 INL이 소유한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로, 이는 특허 정보라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이 직원은 해당 정보가 수출통제 대상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이메일과 메신저 기록이 확인됐다. 직원과 외국 정부 간 소통도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직원이 한국으로 원자로 설계 자료를 반출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보고서에서 언급한 외국 정부는 한국 정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감사관실 보고서 제출 당시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국이 이 사안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에너지부가 최근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배경에는 이 사건이 작용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앞서 한국 외교부도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명단에 포함한 것과 관련해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다만 우리 정부는 이 보고서에 적시된 사례가 유일한 보안 규정 위반은 아니며, 여러 위반 사례 중 하나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에너지부는 지난 14일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의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국가'에 포함한 사실을 확인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지난 1월 초 지정했으며, 지정 이유는 설명하지 않았다.

에너지부는 국가 안보, 핵 비확산, 테러 지원 등 우려가 있어 특별한 정책상 고려가 필요한 국가를 민감국가로 지정한다. 일단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해당국 국적자는 에너지부와 산하 17개 국립 연구소 등과 공동 연구를 진행할 때 더욱 엄격한 절차를 걸쳐야 한다. 원자력,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등 첨단 분야에서 한미 기술 협력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

한국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명단에 올라 있다가 한국 측의 시정 요구와 국내외 정세 변화로 1994년 7월 해제됐다.

국내에서는 한국의 민감국가 지정이 정치적 논란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여권 내 핵무장론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민감국가 지정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여당인 국민의힘은 야당의 반미 성향과 정부 인사 줄탄핵이 원인이라고 날을 세웠다.

정부는 다음 달 15일 발효 전까지 민감국가 명단에서 철회되도록 미국 측과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주 미국을 찾아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에너지 현안을 협의하며 이 문제도 논의할 예정이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적발
    #정부
    #유출
    #에너지부
    #국가
    #직원
    #감국
    #한국
    #연구소
    #원자로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나는 쥐다” 中 청년세대에 퍼진 반항 문화…‘탕핑족’보다 심각 [핫이슈]
    나우뉴스
    0
  • “나는 쥐다” 中 청년세대에 퍼진 반항 문화…‘탕핑족’보다 심각 [핫이슈]
  • 2
  • “자원자 2명, 430만원 드려요”…항공사, 승객에 ‘급하차’ 제안한 사연
    서울신문
    0
  • “자원자 2명, 430만원 드려요”…항공사, 승객에 ‘급하차’ 제안한 사연
  • 3
  • 중국 청년 사이에 퍼진 ‘쥐 인간’…‘탕핑족’보다 더 “아무 것도 안해”
    나우뉴스
    0
  • 중국 청년 사이에 퍼진 ‘쥐 인간’…‘탕핑족’보다 더 “아무 것도 안해”
  • 4
  • 中, '네거티브 리스트' 11개 축소…외인 투자 문턱 낮춰
    아시아경제
    0
  • 中, '네거티브 리스트' 11개 축소…외인 투자 문턱 낮춰
  • 5
  • 휴대폰 보면 12만원, 음악 들으면 5만원…日, 자전거족에 범칙금 추진
    아시아경제
    0
  • 휴대폰 보면 12만원, 음악 들으면 5만원…日, 자전거족에 범칙금 추진
  • 6
  • "이런 고객 좌석 두 개 사야"…비행기 티켓값 논쟁 부른 사진
    아시아경제
    0
  • "이런 고객 좌석 두 개 사야"…비행기 티켓값 논쟁 부른 사진
  • 7
  • 프란치스코 교황 ‘유일한 혈육’ 여동생, 건강 문제로 장례식 참석 못해
    나우뉴스
    0
  • 프란치스코 교황 ‘유일한 혈육’ 여동생, 건강 문제로 장례식 참석 못해
  • 8
  • 머스크-베선트, 트럼프 앞 'F욕설' 충돌…"억만장자 프로레슬링"
    아시아경제
    0
  • 머스크-베선트, 트럼프 앞 'F욕설' 충돌…"억만장자 프로레슬링"
  • 9
  • “비현실적 외모, AI 같은데?”…미모로 ‘실검 1위’ 찍은 中여대생
    서울신문
    0
  • “비현실적 외모, AI 같은데?”…미모로 ‘실검 1위’ 찍은 中여대생
  • 10
  • EU '애플·메타 1조 과징금' 부과에…백악관 "경제적 강탈" 발끈
    아시아경제
    0
  • EU '애플·메타 1조 과징금' 부과에…백악관 "경제적 강탈" 발끈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