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中임산부들 몰려 병실 부족”…‘이곳’으로 원정 출산 떠나는 이유는?
    하승연 기자
    입력 2025.04.13 15:58
    0

임신부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임신부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출산을 위해 홍콩을 찾는 ‘비(非)홍콩인 임산부’ 숫자가 코로나19 이후 다시 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비 홍콩인 임산부가 중국 본토보다 홍콩이 교육 여건이 좋다고 판단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13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출입경당국은 지난해 홍콩 호적이 없는 임신 여성 1154명이 입국(입경)을 거부당해 2020년(227명)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0년 입국 거부자에 비해 5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홍콩 법원은 2001년 홍콩에서 태어나는 신생아에게 거주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후 2012년까지 약 20만명의 아기가 중국 본토인의 ‘원정출산’으로 태어났고, 본토인들이 몰려들면서 산부인과 병실이 모자란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에 홍콩 정부는 2013년부터 홍콩 병원 예약을 하지 않은 비홍콩인 임신 여성(28주 이상)의 입경을 막아왔다. 그러나 비홍콩인이 홍콩에서 아기를 낳는 사례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2019년 비홍콩인 여성의 홍콩 내 출산 건수는 4426건이었고 이 가운데 3741건(84.5%)이 중국 본토인 출산이었다.

이 수치는 2020년 2498건을 기록한 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인 2021~2023년 2000건 아래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다시 2396건(중국 본토인 비중은 78%)으로 증가했다.

입국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사례는 더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본토 임산부 4만 9709명이 홍콩 입경을 차단당했다. 2022년 입경 거부 임신 여성은 498명이었는데 2023년엔 2만 6명으로 약 40배 증가했다.

홍콩 정부는 팬데믹과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속에 인력이 감소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2022년 말 세계 100대 대학 졸업자 등에게 2년짜리 취업 비자를 내주는 ‘고급 인재 통행증 계획’을 시행했는데, 홍콩에서 아이를 낳으려는 중국 본토인들이 이 제도를 이용한 것이다.

홍콩 당국은 ‘고급 인재 통행증 계획’을 통해 비자를 얻은 사람이 신고한 사유와 다른 여행 목적(출산 등)을 가질 경우 홍콩 입경이 불허될 수 있다고 경고하는 한편, 본토에서 온 온 여성들에 대한 조사를 강화했다.

그러나 중국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이러한 단속을 피해 가는 요령이 최근에도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정출산
    #홍콩인
    #부들
    #병실
    #이유
    #임산
    #부족
    #홍콩
    #중국본토
    #출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美·中 관세 갈등 속…中서열 6위, 삼성공장 방문
    아시아경제
    0
  • 美·中 관세 갈등 속…中서열 6위, 삼성공장 방문
  • 2
  • 트럼프 “中과 관세 대화 중…3~4주 내 타결 기대”
    서울신문
    0
  • 트럼프 “中과 관세 대화 중…3~4주 내 타결 기대”
  • 3
  • 아직 내전 중인 콜롬비아, 지난해 폭발물 사상자 89% 급증 [여기는 남미]
    나우뉴스
    0
  • 아직 내전 중인 콜롬비아, 지난해 폭발물 사상자 89% 급증 [여기는 남미]
  • 4
  • 日 3월 소비자물가 3.2%↑…쌀값 '역대 최고' 92% 급등
    아시아경제
    0
  • 日 3월 소비자물가 3.2%↑…쌀값 '역대 최고' 92% 급등
  • 5
  • 日 나가노현 북부서 규모 5.0 지진…쓰나미 우려 없어
    아시아경제
    0
  • 日 나가노현 북부서 규모 5.0 지진…쓰나미 우려 없어
  • 6
  • 中 원양어선 타깃?…트럼프 "해산물 관련 강제노동 검토" 행정명령
    아시아경제
    0
  • 中 원양어선 타깃?…트럼프 "해산물 관련 강제노동 검토" 행정명령
  • 7
  • 600억 짜리 블랙호크 ‘줍줍’…테러단체가 美 무기 쓰는 비결 알고보니 [핫이슈]
    나우뉴스
    0
  • 600억 짜리 블랙호크 ‘줍줍’…테러단체가 美 무기 쓰는 비결 알고보니 [핫이슈]
  • 8
  • "전기차는 움직이는 스파이" 중국산 부품 사용에 '도청' 가능성 지적한 英
    아시아경제
    0
  • "전기차는 움직이는 스파이" 중국산 부품 사용에 '도청' 가능성 지적한 英
  • 9
  •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서울신문
    0
  •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 10
  • "1만원 때문에 잘리고 억대 퇴직금도 못 받아"…일본판 '2400원 횡령' 터졌다
    아시아경제
    0
  • "1만원 때문에 잘리고 억대 퇴직금도 못 받아"…일본판 '2400원 횡령' 터졌다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