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136년 만에 최저 출생…‘인구 380만’ 우루과이, 국가소멸 우려가 시작됐다 [여기는 남미]
    임석훈 남미 통신원 juanlimmx@naver.com
    입력 2025.04.15 10:47
    0

우루과이의 한 초등학교에 학생들이 모여 이야기를 하고 있다. 출처=시코에두
우루과이의 한 초등학교에 학생들이 모여 이야기를 하고 있다. 출처=시코에두

남미국가 우루과이가 인구소멸을 걱정하게 됐다. 우루과이는 주요 남미국가 가운데 인구가 가장 적은 국가다.

14일(현지시간) 우루과이 언론은 통계 당국의 공식 발표를 인용해 지난해 우루과이에서 2만 9899명이 출생했고, 이는 2만 9707명을 기록한 1888년 이후 최저 기록이라고 보도했다. 현지 언론은 “출생아가 13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면서 우루과이에 인구소멸 경고등이 켜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의 추이를 보면 우루과이는 인구소멸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사망이 출생보다 많아 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우루과이 통계 당국은 지난해 사망자가 3만 5956명으로 출생아보다 6000명 이상 많다고 집계했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 인구수가 감소하는 현상은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이어지고 있다.

출생아 감소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분석한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출산을 최대한 미루거나 아예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사회보장시스템이 출산을 장려하지 못하고 있는 점, 피임이 일반화하면서 청년기 여성의 출산이 줄어든 점 등도 출생아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특히 피임 일반화는 10대 출산 감소에 결정적 요인이 됐다. 불과 10년 전 우루과이에서 15~19세 여성의 출산율은 인구 1000명당 61명이었지만 2024년에는 20명으로 가파르게 감소했다.

현지 인구전문가들은 “너무 이른 나이에 출산하는 건 결코 장려할 일이 아니라서 10대 출산율이 역대 가장 빠르게 줄고 있는 건 반갑지만 우려도 자아내는 현상”이라며 “특히 18~19세 여성의 출산이 감소하는 데는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인류학연구원 라켈 포예로는 “우루과이가 그간 정책적으로 10대의 출산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고 지난해 통계는 이에 대한 성적을 받아 든 것”이라면서도 “청소년 출산이 감소한 것은 정책이 실효를 거뒀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지만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건 출산을 꺼리는 현대사회의 단면일 수 있어 또 다른 고민거리를 던져줬다”고 설명했다.

현지 언론은 인구감소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출생아는 주는데 사망자가 느는 추세라 인구감소가 가속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루과이의 인구는 2023년 기준 338만명으로 남미 주요 국가 중 가장 적다.

인구전문가들은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우루과이가 고령화에 이어 인구소멸로 접어드는 건 시간문제”라면서 “연금제도, 교육제도 개혁, 사회보장제도의 개혁이 필요하고 인구감소를 최대한 늦추기 위한 정책, 예컨대 적극적인 이민자 수용정책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멸
    #국가
    #남미
    #출생
    #감소
    #우려
    #시작
    #우루과이
    #최저
    #출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트럼프 "찰스 3세 英 국왕이 초청…9월 영국 방문"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찰스 3세 英 국왕이 초청…9월 영국 방문"
  • 2
  • "갑자기 비자 말소돼 돌아가요"…한국인 현직 교수도 美서 쫓겨나
    아시아경제
    1
  • "갑자기 비자 말소돼 돌아가요"…한국인 현직 교수도 美서 쫓겨나
  • 3
  • 관세 폭탄 던지더니 갑자기 말 바꾼 트럼프…알고 보니 자산 60%가 '채권'
    아시아경제
    1
  • 관세 폭탄 던지더니 갑자기 말 바꾼 트럼프…알고 보니 자산 60%가 '채권'
  • 4
  • "영어 못해서 체포됐어요"…불법체류자로 오인돼 48시간 구금당한 美 시민권자
    아시아경제
    0
  • "영어 못해서 체포됐어요"…불법체류자로 오인돼 48시간 구금당한 美 시민권자
  • 5
  • "트럼프, '금리인하 거부' 파월 교체시 금융시장 혼란 인식"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금리인하 거부' 파월 교체시 금융시장 혼란 인식"
  • 6
  • "中과 관계 개선 영향"…인도, 티베트 순례 재개
    아시아경제
    0
  • "中과 관계 개선 영향"…인도, 티베트 순례 재개
  • 7
  • "전·현직 신부와 결혼해요"…단체사진 넣고 청첩장 뿌렸다가 中 발칵
    아시아경제
    0
  • "전·현직 신부와 결혼해요"…단체사진 넣고 청첩장 뿌렸다가 中 발칵
  • 8
  • 中, 캄보디아 운하 사업에 1.7조원 투자
    아시아경제
    0
  • 中, 캄보디아 운하 사업에 1.7조원 투자
  • 9
  • "美 상장폐지 가능한 中기업들, 홍콩 증시로 유인해야"
    아시아경제
    0
  • "美 상장폐지 가능한 中기업들, 홍콩 증시로 유인해야"
  • 10
  • 푸틴 웃겠네 “트럼프, 크림반도 줄 수도”…이제 침략하면 자기네 땅?
    서울신문
    0
  • 푸틴 웃겠네 “트럼프, 크림반도 줄 수도”…이제 침략하면 자기네 땅?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