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국제
전설 속 괴물 ‘크라켄’의 현생?…지구상에서 가장 큰 오징어 포착
    송현서 기자
    입력 2025.04.16 10:28
    0

지난달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슈미트 해양 연구소의 연구진이 남대서양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 인근 해역의 심해 600m 구역에서 촬영한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콜로살 오징어)의 모습. 슈미트 해양 연구소 제공
지난달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슈미트 해양 연구소의 연구진이 남대서양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 인근 해역의 심해 600m 구역에서 촬영한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콜로살 오징어)의 모습. 슈미트 해양 연구소 제공

지구상에 존재하는 무척추동물 중 몸집이 가장 큰 오징어가 최초로 심해에서 포착됐다.

미국 뉴욕타임스, 뉴사이언티스트 등 외신은 15일(현지시간) 심해에서 거대 오징어의 모습이 최초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콜로살 오징어, 자이언트 크랜치 오징어 등으로 불리며, 국내 국립수산과학원에는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학명 메소니코 테우티스 해밀토니, Mesonychoteuthis hamiltoni)다. 수면에서 포획된 적은 있지만 심해에서 헤엄치는 모습이 촬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슈미트 해양 연구소의 연구진이 남대서양 사우스 핸드위치 제도 인근 해역의 심해 600m 구역에서 촬영한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콜로살 오징어)의 모습. 슈미트 해양 연구소 제공
지난달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슈미트 해양 연구소의 연구진이 남대서양 사우스 핸드위치 제도 인근 해역의 심해 600m 구역에서 촬영한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콜로살 오징어)의 모습. 슈미트 해양 연구소 제공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슈미트 해양 연구소의 연구진은 남대서양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 인근의 남극해를 조사하기 위해 원격으로 조종하는 심해 카메라를 설치하고 관찰하던 중, 심해에서 거대한 생명체가 헤엄치는 모습을 포착했다.

연구진은 오징어 등 해양생물 전문가들에게 분석을 맡긴 뒤, 이 생명체가 지금껏 심해에서는 단 한 번도 인간의 눈에 띈 적이 없었던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길이 최대 7m, 무게 500㎏까지 자란다고 알려져 있으며, 굵은 몸통과 넓은 지느러미, 기괴할 정도로 큰 눈이 특징이다. 북유럽 전설 속 괴물인 ‘크라켄’을 연상케 하는 외형으로 유명하다.

이번에 심해 600m 지점에서 카메라에 포착된 것은 알려진 것보다 몸집이 작은 것으로 보아, 성체가 아닌 새끼로 추정된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과대학교의 두족류 생물학자인 볼스타드 박사는 뉴욕타임스에 “종종 성체 콜로살 오징어(서양에서 부르는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명칭)가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를 잡아먹다가 어선에 끌려오기도 하고, 어린 개체들은 어망에 걸리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까지 인간은 남극의 깊은 바다에서 이 거대한 오징어가 헤엄치는 모습을 직접 본 적이 없다. 오징어는 주변 환경을 매우 예민하게 인지하며, 포식자가 다가오는 것을 경계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2007년에도 뉴질랜드에서 포획된 뒤 박물관에 전시되기 위해 표본으로 만들어지는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콜로살 오징어). 뉴질랜드 국립박물관 테 파파(Te Papa) 제공.
2007년에도 뉴질랜드에서 포획된 뒤 박물관에 전시되기 위해 표본으로 만들어지는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콜로살 오징어). 뉴질랜드 국립박물관 테 파파(Te Papa) 제공.

캘리포니아 몬터레이만 수족관 연구소의 생물학자인 크리스틴 허퍼드는 뉴욕타임스에 “콜로살 오징어처럼 흔히 볼 수 없는 해양 동물의 영상은 심해 채굴과 같은 인간 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이 동물들이 어디에서 시간을 보내는지, 짝짓기나 산란을 위해 어디로 이동하는지, 얼마나 오래 사는지 아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한편,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2003년 남극해에서 조업하던 뉴질랜드 어선이 포획하면서 최초로 온전한 표본이 확인됐다. 2007년에도 뉴질랜드에서 같은 종의 오징어가 잡혔고, 현재 이 개체의 표본은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자신보다 큰 향유고래에게 잡아먹힌 뒤, 향유고래의 위장 속에서 촉수 등 신체 일부가 발견된 사례도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육질이 매우 뛰어나고 개체수도 풍부한 것으로 추정돼 어족 자원으로서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된다.

    #제도
    #미국
    #오징어
    #포착
    #해양
    #슈미트
    #모습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연구소
    #뉴질랜드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美 상호관세 협상 앞둔 대만, 블랙호크 60대 추가 구매
    아시아경제
    0
  • 美 상호관세 협상 앞둔 대만, 블랙호크 60대 추가 구매
  • 2
  •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10월부터 적용(상보)
    아시아경제
    0
  •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10월부터 적용(상보)
  • 3
  • 트럼프, 로펌·대학 이어 시민단체도 압박…"면세 박탈 검토"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로펌·대학 이어 시민단체도 압박…"면세 박탈 검토"
  • 4
  • 백악관 "코로나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유출" 홈페이지 게재
    아시아경제
    0
  • 백악관 "코로나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유출" 홈페이지 게재
  • 5
  • “한국이 중국 만두 훔쳤다” 부글부글…비비고 ‘만두 모양 특허’에 “어이없다”는 中
    서울신문
    0
  • “한국이 중국 만두 훔쳤다” 부글부글…비비고 ‘만두 모양 특허’에 “어이없다”는 中
  • 6
  • "당 대선 후보 대신 무소속 밀겠다"…루마니아 정당 이유를 들어보니
    아시아경제
    0
  • "당 대선 후보 대신 무소속 밀겠다"…루마니아 정당 이유를 들어보니
  • 7
  • 美, 예멘 내 ‘후티 통제 항만’에 대규모 공습 “38명 사망, 102명 부상”
    나우뉴스
    0
  • 美, 예멘 내 ‘후티 통제 항만’에 대규모 공습 “38명 사망, 102명 부상”
  • 8
  • "전·현직 신부와 결혼해요"…단체사진 넣고 청첩장 뿌렸다가 中 발칵
    아시아경제
    0
  • "전·현직 신부와 결혼해요"…단체사진 넣고 청첩장 뿌렸다가 中 발칵
  • 9
  • 트럼프 불만 토로한 '주일미군 경비'…이시바 "미·일, 적절히 분담"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불만 토로한 '주일미군 경비'…이시바 "미·일, 적절히 분담"
  • 10
  • “3개월 전 행방불명”…日 아이돌 출신 톱배우, 숨진 채 발견
    서울신문
    0
  • “3개월 전 행방불명”…日 아이돌 출신 톱배우, 숨진 채 발견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